올해 9월에 구성된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지원센터와 관련 말들이 많다. 대부분 비전문가로 구성된 센터 운영부터 과다한 인건비 책정 등이 논란의 대상이다.
최근 열린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하민철)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도 이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홍기철 의원은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직원 명단을 보니 전공이 정치학과나 법학과, 환경과와 사진과 등으로 ‘도시재생(都市再生) 전문가’를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민철 위원장도 “상담심리학과 관광개발, 문화예술 등을 전공하는 사람들로 무슨 도시재생을 한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거들었다. “특히 지원센터 인건비로 5억4000만원이 계상됐다. 이를 직원 10명으로 나누면 연봉(年俸)이 5400만원이라는 것인데, 이는 (지역여건상) 엄청난 연봉”이라고 꼬집었다.
물론 이 시대의 화두가 ‘학문적 통섭(統攝)과 융·복합’임을 감안하면 단순하게 전공과목만을 따져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도시재생이란 사업의 특성상 그 중심엔 관련 전문가가 주축으로 자리잡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직원들 면면을 살펴보면 전문가적 식견보다는, 특정 사람을 채용하기 위한 ‘위인설관(爲人設官)’의 성격이 매우 짙다는 것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극도로 침체된 제주시 원(原)도심을 살리기 위한 ‘마지막 처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과 같은 인적 구조를 갖고는 이 사업의 성공을 기대할 수가 없다. 도의원들의 지적을 허투루 듣지 말고 이제라도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