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정교과서 오늘 공개
‘제주4·3’ 기술방향 등 관심
역사국정교과서 오늘 공개
‘제주4·3’ 기술방향 등 관심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6.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교과서 철회 가능성’ 언급 귀추 주목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파편이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 국정교과서 발간 문제로 옮겨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오늘 28일 공개되는 최종 검토본에서 제주4·3이 어떻게 기술됐을 지에 우선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내년 신학기 보급을 목표로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교과서 발간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ㆍ검ㆍ인정 구분안’을 확정 고시하고 올 초 집필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지난 25일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가 2015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교과용 도서 편찬기준안을 공개했다.
 
이날 윤곽을 드러낸 국정교과서 편찬기준은 총 60쪽 분량으로 제주4·3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수립을 전후해 발생하였음에 유의한다”는 점만 기술돼 있었다.

이는 앞서 2009년 당시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한 집필 기준에서 “정부 수립 이후 단독정부 수립을 둘러싼 갈등으로 제주4·3사건 및 친일파 청산 노력 등을 기술하도록 유의한다”고 적시한 내용보다 더 간결하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오영훈 의원(제주시 을)은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정교과서에 제주4·3이 왜곡·축소 기술되는 부분이 있는 지 28일까지 지켜보고 적극 대응해나갈 것”이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한편 이준식 교육부 장관은 지난 25일 국회 교문위 전체회의에서 반대 여론이 높으면 역사 국정교과서를 철회하겠느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공개한 다음 판단해야 한다”며 국정교과서 추진 철회 가능성을 내비쳐 향후 이 문제도 관심사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