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가 “다른 지역 같은 경우도 ‘행복주택’을 추진하다가 안하기로 결정된 곳도 많다”며 사업 철회 가능성을 시사(示唆)했다. 16일 진행된 제주도의회의 도정질문 답변을 통해서다. 따라서 논란이 많았던 행복주택사업의 향방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에 앞서 안창남 의원은 “해당 사업에 대해 여러 주장과 이야기가 있지만 앞으로 교통문제와 학교문제 등이 심각해질 것이다. 특히 연삼로 주변에 도남연립주공 및 이도주공 재개발(再開發) 등으로 주택과 건축이 대거 들어서는데 이를 다 어떻게 감당할 것이냐”고 질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원 지사는 “교통문제는 행정에서도 심각하게 생각한다. 이 부지 이외에 남북측 출퇴근 문제 또한 심각한데 어떻게 교통난을 해소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만약 교통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대단위 단지가 들어서면 안 된다는 것까지 포함해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도정의 입장이 ‘철회’나 ‘교통문제 해결’ 등 어느 쪽에 방점(傍點)이 찍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행복주택사업과 관련 상당한 입장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이나 서민들을 위한 ‘행복주택’을 반대하는 도민은 없을 것이다. 문제는 그 장소가 꼭 시청사 부지여야 하느냐는 점이다. 앞으로 이 정도 면적의 땅을 확보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때문에 시청사 부지만은 ‘미래의 자산(資産)’으로 남겨둬야 한다는 게 대다수 도민들의 생각이다. 이 같은 점을 제주도정이 깊이 인식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