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2·28 사건 명예회복·국가배상 과정 벤치마킹”
“대만 2·28 사건 명예회복·국가배상 과정 벤치마킹”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6.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유족회 타이베이 방문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양윤경)는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유족회 임원과 지역별 유족대표, 배·보상특별위원회 위원을 비롯해 양조훈 전 제주도 환경부지사, 고창훈 제주대학교 교수 등 39명이 참여한 가운데 대만 타이베이를 방문했다.

이들은 양전뤙 2·28국가기념관장과 2·28연구보고서 총주필을 맡은 대만국립중앙대 제항라이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교류 좌담회를 개최해 대만 2·28을 재조명하고, 4·3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는 시간도 가졌다.

이번 방문에선 2·28사건의 진상 규명과 상처 치유, 배상 과정을 비교하면서 아직도 한국 정부가 외면하고 있는 배·보상 문제와 새 정부가 들어선 대만의 재규명 작업 등을 살펴보는 계기가 됐다.

지난 15일 2·28국가기념관(관장 양전뤙)에서 개최한 국제교류 좌담회는 양조훈 전 부지사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양윤경 유족회장은 “4·3 70주년을 앞두고 대만 2·28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특히 국가적인 배상이 이뤄지는 과정을 진솔하게 배우러 왔다”고 방문 목적을 설명했다.

좌담회에서 대만국립중앙대 제항라이 석좌교수는 “대만 정부는 처음엔 기념비만 세우면 된다고 했지만 1995년 보상조례, 2007년 배상조례로 개정했다”며 “제주4·3도 정부의 적당한 배상과 미국의 책임문제를 다룰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방문 이틀째인 16일에는 ‘대만 2·28과 제주4·3의 협력 체제 구축’을 주제로 라이 교수와 고창훈 교수가 발표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열렸다.

지난 1947년 발생한 대만 2·28사건은 발생시기와 배경, 섬 주민과 본토 주민과의 갈등, 진압군에 의한 무자비한 토벌, 40년 동안 정부에 의해 논의 금지 등 제주4·3과 너무 흡사한 사건이다.

그후 두 사건은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 발간, 정부수반의 사과, 국가기념일 지정 등 그 해결방법도 비슷했지만, 제주4·3과 달리 대만은 2·28은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추진한데 이어 지난 5월 출범한 민진당 소속 차이잉원 총통이 과거사에 대한 재조사와 희생자에 대한 명예회복을 천명하고 나서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