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편의성 취지 불구 비용 부담 증가 전망

제주도는 올해 6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접종률 82%를 목표로 무료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노인들의 접근성과 편의성, 접종의 안전성 등을 높이겠다는 취지인데, 자칫 병·의원 등 의료기관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적잖은 지방비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보건소에서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접종시 안전사고 우려 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인대상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65세이상 노인들은 보건소를 비롯해 도내 병·의원 어디에서도 무료로 예방접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사업 예산의 절반을 지자체가 부담하면서 자칫 의료기관으로 접종자가 몰리게 될 경우 적잖은 지방비 투입은 불가피해 보인다.
10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 노인은 모두 8만5893명이다. 보건 당국의 목표대로라면 대상자 중 7만432명에 대해 예방접종을 진행해야 한다.
접종 대상 노인들은 보건소와 의료기관 어느 곳이든 무료 접종이 가능하지만, 보건소와 의료기관간 접종비는 큰 차이를 보였다.
실제 보건소 접종의 경우 백신비용(7510원) 정도만 필요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접종할 경우 백신료(7510원)와 운송료(1090원)와 시행료(1만2150원) 등이 추가 되면서 인플루엔자 접종 비용은 2만750원으로 늘어난다.
이에 따른 지방비 부담도 늘어 올해 보건당국의 목표로 하는 대상 노인 7만432명 모두가 인근 의료기관에서 접종할 경우 모두 제주도가 부담해야 할 지방비는 7억3073만2000원(전체 예산의 50%)에 이른다. 만약 이들 모두가 보건소에서 접종을 받게 되면 병·의원의 약 36% 수준인 2억6447만2160원이면 가능하다. 접종 장소에 따라 수억원(4억6625만9840원)의 예산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도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제주도는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고량자의 인플루엔자 접종률 향상과 질병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그동안 예방접종 시기만 되면 보건소로 몰려드는 노인들로 인해 적잖은 문제가 발생했다”면서 “이 사업은 노인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정한 방침이다. 오는 15일 이후에는 남은 백신을 수거, 보건소에서만 접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