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검출 우레탄 원인규명 나서야
유해물질 검출 우레탄 원인규명 나서야
  • 제주매일
  • 승인 2016.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교 우레탄 교체 문제가 제주도의회와 도교육청 간 정책협의회에서도 이슈로 떠올랐다.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섣부른 교체보다 유해(有害)물질과 관련 원인규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날 정곡(正鵠)을 찌른 이는 신관홍 도의회 의장이었다. 신 의장은 “대부분 조달청의 일정한 시공 기준을 통과한 업체가 작업을 했을 텐데, 학교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나뉘는 게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공과정과 제품 중 무엇이 문제인지” 따져 물었다.

특히 신 의장은 96개교 트랙 교체에 15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되는데 교육청만 예산을 대느라 끙끙 앓을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벌(罰)을 받을 사람은 받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새로운 예산을 투입하기에 앞서 원인규명을 위한 감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촉구한 것이다.

사업가 출신답게 신 의장은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짚었다. 그동안 도교육청은 우레탄 트랙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자 교체에만 급급했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등 진상(眞相) 규명에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었다.

앞서 도내 172개교를 대상으로 우레탄 트랙을 전수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96개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납 등 다수의 유해물질이 검출돼 큰 충격을 줬다. 트랙 교체를 서두른 것도 학생과 주민 모두의 건강과 직결(直結)되는 사안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우레탄 트랙 교체를 놓고도 잡음이 일고 있다. 도교육청이 천연잔디나 마사토 등 친환경제품으로 교체한다는 방침인데 반해, 일부 학교 및 도의원들이 우레탄을 ‘고집’하며 마찰을 빚고 있는 것은 단적인 예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우레탄 트랙을 마냥 방치할 수도 없다. 도교육청은 교체를 추진하는 동시에 신관홍 의장의 지적처럼 원인 규명에도 빨리 나서야 한다. 우선 제주도감사위원회에 감사를 요청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근본적인 원인을 그대로 놔두고 단순 교체로 끝난다면 같은 잘못이 반복될 뿐이다. 차제에 불량제품을 사용한 부실(不實) 시공 등의 문제는 그 뿌리부터 확실하게 뽑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