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의 심의결과를 검토, 지난 4일 사업자인 ㈜JCC 측에 “제주 미래비전에 보다 부합되는 방향으로 보완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중산간 난개발 우려와 특혜 의혹 등으로 지역 사회의 최대 이슈임에도 일사천리 양상으로 진행되던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에 일단 제동이 걸린 셈이다.
도가 보완을 요구한 사항은 △지하수 보전과 오염방지를 위해 지하수 사용량 최소화와 다른 용수 사용계획 △하수 및 폐기물의 전량 자체 처리 계획 △휴양콘도시설의 적정수요량 재산정 등이다. 이 모두 지역 시민·단체와 도의회 등 도민사회에서 심각한 우려를 제기했던 것들이다.
도는 자본의 적격성 및 충실한 투자계획의 이행, 지역경제 및 제주관광 기여 효과, 교통 및 경관 영향 등 종합적인 것을 면밀히 검토해 심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과 관련 “어떠한 결론도 미리 전제함이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제주도의 이러한 조치와 방침을 적극 환영한다. 그리고 ‘사심’ 없는 일 처리를 주문한다. 제주도의 ‘법 대로’ 주장에도 불구, 일각에선 “일사천리 밀어주기”라는 도민사회의 지적을 의식, 사업의 인·허가를 위한 ‘숨고르기’라는 견해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도의 보완요구처럼 제주시민들의 머리맡과 같은 곳에, 부지 대부분이 환경총량대상지에 추진 중인 오라관광단지로 인해 도민들이 부담하거나 겪어야할 비용은 상상을 초월한다. 오라단지에서 예상되는 1일 오수발생량은 4480t으로 성산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 4000t 보다도 많다. 또 생활용수 등 1일 물 예상사용량은 9524t으로 한림정수장 시설용량(1만t)과 맞먹는다.
특히 용수의 절반 가량인 5000t을 지하수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지금도 갈수기엔 제한급수가 이뤄지기도 하는 상황인데, 해발 350m~580m에서 지하수를 뽑기 시작하면 중산간 물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임은 불문가지다. ‘면피성’이 아니라 ‘제주 미래’를 위해 심사숙고해야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