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영어교육도시와 지역주민 소외
제주영어교육도시와 지역주민 소외
  • 제주매일
  • 승인 2016.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에 조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 전체 부지의 55%인 63만여평이 도민의 재산인 도유지(道有地)다. 사유지인 경우도 마을공동목장을 3.3㎡당 2~3만원씩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매각했다. 공공의 이익을 고려해 내린 결단이었다.

그러나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도민복리 증진은커녕 지역주민의 소외감(疎外感)만 깊어지고 있다. 예컨대 공유지 무상양여에 따른 협약 이행, 즉 도내 저소득층 자녀 지원만 하더라도 생색내기에 그치는 중이다. 올해 국제학교 저소득층 장학금 지원은 전년 11명보다도 줄어든 7명에 불과하다. 더욱이 외국학교는 지원규모를 축소하거나 아예 지원하지 않는 곳도 있다.

국제학교가 개교한 지 벌써 5년이 흘렀으나 지역주민을 아우르는 화합행사는 고작 2회에 그쳤다. 지역사회와의 상생(相生)과 공존의지를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관계당국도 마찬가지다. 영어교육도시와 관련 제주도와 JDC(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해울과 도교육청 등의 유관기관 협의에서도 지역과의 공존(共存) 대책은 다뤄본 적이 없다. 제주도지사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자들 역시 관심 밖이다.

특히 JDC의 경우 당초 영어교육도시 사업을 추진하면서 ‘장밋빛 약속’ 등을 내놨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결국 주민들한테 토지를 헐값에 사들여 땅장사만 한 채 손을 턴 꼴이다.

영어교육도시뿐만 아니라 제주도민들이 각종 개발에 다소의 반감(反感)을 갖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향후 제반 개발사업과 관련 지역사회와의 상생 및 공존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임을 알아야 하고, 당국 또한 이를 인지(認知)시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