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마케팅 타겟 좁고 명확해야…”
“기업 마케팅 타겟 좁고 명확해야…”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6.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83차 제주경제와 관광포럼’ 주제 강연
박항기 대표 “만드는 것보다 관리가 중요”
▲ 제주상공회의소와 제주도관광협회가 25일 제주칼호텔에서 ‘제83차 제주경제와 관광포럼’ 을 개최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제주지역 중소기업의 마케팅 전략은 ‘타깃을 좁히고 명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기업을 좇아 이것저것 하지 말고, 뛰어들 시장을 좁고 분명하게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상공회의소와 제주도관광협회가 25일 제주칼호텔에서 개최한 ‘제83차 제주경제와 관광포럼’ 강사로 나선 박항기 메타브랜딩 대표는 ‘중소기업 브랜드마케팅 전략’이라는 주제강연을 통해 이 같이 설명했다.

그는 이날 중소기업 브랜딩에 실패하는 이유와 중소기업 브랜딩 단계별 사례를 진단하고, 브랜드 마케팅 성공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브랜드는 만드는 것보다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전제, “중소기업의 브랜딩이 실패하는 이유는 영업과 마케팅을 혼동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영업은 제품을 파는 것이지만, 마케팅은 제품을 팔리게 하는 것”이라며 “생산자의 입장이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중소기업들은 이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해 브랜딩 과정에서 애를 먹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소기업 브랜딩은 ▲OEM(주문자상품 부착 생산) ▲ODM(제조업자 개발 방식) ▲라이선스 브랜드 ▲독자 브랜드 단계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유명 브랜드를 빌려 매뉴얼 관리 등의 노하우를 학습하면 브랜딩 과정에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소기업들의 성공적인 브랜드마케팅 전략을 위한 5대 포인트도 제시했다.

우선 대기업과 차별화된 시장을 정화하게 겨냥하라고 주문했다. 시장을 좁게,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타깃 고객층을 전략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브랜드 설명문을 구체적으로 만드는 것도 성공적인 브랜드 마케팅의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디자인의 차별성과 주특기를 활용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도 주문했다.

이 외에 중국시장 진출을 겨냥하고 있는 중소기업인 경우 시장에 나가기 전에 소비자에 대한 학습을 먼저 할 것을 당부했다.

그는 “5000년 장사 노하우를 가진 중국은 명분보다 실리를 중요시한다”며 “무엇보다 22개성과 4개 자치구 고유의 특성을 먼저 파악한 후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