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 투자된 중국자본에 대한 물음표가 던져졌다. 국회 강창일 의원은 10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중국계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콘도 분양 등 부동산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투자목적과 투자기업의 실체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중국자본 상당수가 이러한 이유로 ‘먹튀’로 전락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투자 대상지인 제주 지역사회 기여에는 관심이 없고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는 행태에 대한 우려다.
문제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게 헬스케어타운과 드림타워 공사를 진행 중인 녹지그룹이다. 강 의원에 따르면 녹지그룹은 지난해 원희룡 제주지사와 합의각서를 체결하면서 제주상품 구입 규모를 3~5년 안에 500억원까지 늘리기로 했으나 지금까지 구입액은 1억여원에 불과하다.
특히 녹지그룹은 드림타워 공사도 제주 업체를 배제, 중국 업체에 맡겨버렸다. 뿐만 아니라 올해 6월 착공한 드림타워호텔 레지던스에 대한 국내 분양에만 집중, 일종의 부동산 투기가 아니냐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총 4212억원 투자 예정인 제주분마 이호랜드와 600억원 규모의 제주그린벨리관광타운 등도 사업 기간만 연장하고 있다. 사정이야 있겠지만 땅값이 오르기를 기다리며 잡고만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살만도 하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한다. 한정된 면적의 ‘섬’ 제주에서 소중한 땅들이 중국 자본의 투기의 장이 되어선 결코 안될 일이다.
도지사와의 합의각서를 무시하는 것은 제주도민과의 약속을 깨는 것에 다름 아니다.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내외를 불문하고 제주에 들어온 기업이 제주도민을 존중하지 않으면 우리도 존중하고 협조해줄 필요가 없다.
아울러 ‘잡고만 있는’ 사업들도 정리해야 한다. 전체의 80% 수준에 달할 정도로 중국에 몰려 있는 외국자본의 포트폴리오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사드 등 외교적인 문제로 중국과 관계가 악화될 개연성이 상존하고, 그 경우 적지 않은 충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주지역에 투자된 중국자본에 대한 물음표가 던져졌다. 국회 강창일 의원은 10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중국계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콘도 분양 등 부동산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투자목적과 투자기업의 실체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중국자본 상당수가 이러한 이유로 ‘먹튀’로 전락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투자 대상지인 제주 지역사회 기여에는 관심이 없고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는 행태에 대한 우려다.
문제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게 헬스케어타운과 드림타워 공사를 진행 중인 녹지그룹이다. 강 의원에 따르면 녹지그룹은 지난해 원희룡 제주지사와 합의각서를 체결하면서 제주상품 구입 규모를 3~5년 안에 500억원까지 늘리기로 했으나 지금까지 구입액은 1억여원에 불과하다.
특히 녹지그룹은 드림타워 공사도 제주 업체를 배제, 중국 업체에 맡겨버렸다. 뿐만 아니라 올해 6월 착공한 드림타워호텔 레지던스에 대한 국내 분양에만 집중, 일종의 부동산 투기가 아니냐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총 4212억원 투자 예정인 제주분마 이호랜드와 600억원 규모의 제주그린벨리관광타운 등도 사업 기간만 연장하고 있다. 사정이야 있겠지만 땅값이 오르기를 기다리며 잡고만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살만도 하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한다. 한정된 면적의 ‘섬’ 제주에서 소중한 땅들이 중국 자본의 투기의 장이 되어선 결코 안될 일이다.
도지사와의 합의각서를 무시하는 것은 제주도민과의 약속을 깨는 것에 다름 아니다.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내외를 불문하고 제주에 들어온 기업이 제주도민을 존중하지 않으면 우리도 존중하고 협조해줄 필요가 없다.
아울러 ‘잡고만 있는’ 사업들도 정리해야 한다. 전체의 80% 수준에 달할 정도로 중국에 몰려 있는 외국자본의 포트폴리오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사드 등 외교적인 문제로 중국과 관계가 악화될 개연성이 상존하고, 그 경우 적지 않은 충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