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 활동공간 ‘중금속 범벅’ 이라니
어린이들 활동공간 ‘중금속 범벅’ 이라니
  • 제주매일
  • 승인 2016.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어린이집과 학교 시설물 상당수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한다. 환경부는 지난 2년간 전국의 430㎡ 규모 이상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유해물질 시범조사를 벌였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어린이들의 활동공간에서도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 대량 검출됐다.

제주지역 조사대상 139개 어린이집 가운데 43%인 60곳에서 KS기준치를 초과하는 납이 나왔다. 카드뮴과 6가크롬이 초과 검출된 곳도 각각 37곳(27%), 23곳(17%)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연동의 A어린이집의 경우 문틀에서 KS기준을 무려 652배 상회하는 6가크롬(1만6300mg/kg)이 검출됐다. 이곳에서는 기준치의 261배가 넘는 납(2만3500mg/kg)도 확인됐다. 노형동 B어린이집 벽 페인트에서는 KS기준의 468배에 달하는 6가크롬(1만1700mg/kg)과 239배가 넘는 납(2만1500mg/kg)이 나왔다.

유치원과 초등학교도 예외가 아니다. 유치원의 경우 조사대상 82곳 중 41곳(50%)에서 납이 기준치를 넘게 나왔고, 카드뮴과 6가크롬 초과 시설도 각각 24곳(29%), 25곳(30%)인 것으로 조사됐다. 초등학교는 조사대상 100개교 가운데 32곳에서 납이, 23곳에서 6가크롬이, 20곳에서 카드뮴이 각각 기준치를 넘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학교 운동장 우레탄트랙 중금속 검출보다 더 충격적이다. 조사 대상이 어린이들이 장시간 활동하는 실내공간이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이 유해물질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봐야 한다.

각종 시설에서 잇따라 유해물질이 검출되면서 아이들이 마음 놓고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줄고 있다. 어른들의 책임이다. 겉만 번지르하게 할 뿐 시설 재료의 안전성은 도외시 했다. 당국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안감 해소에 적극 나서야 한다. 어린이집 등의 규모와 관계없이 시설 유해물질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