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활성화 사업 연계 방침”만 반복

노약자, 장애인 등 보행 약자를 위해 제주시 원도심 중앙사거리에 횡단보도를 설치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제주시는 아직 언제 마무리될지 모르는 원도심 활성화 사업과 연계해 횡단보도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사실상 주민 불편을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도1동 주민 등 966명은 지난달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 중앙지하도상가 남측 건널목을 다시 설치해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제주시는 앞서 6월부터 시작된 지하상가 보수 공사로 보행자들이 불편을 겪자 해당 구간에 임시 횡단보도를 설치했다가 공사가 끝난 지난달 철거한 바 있다.
이들은 탄원서를 통해 “지하상가 조성 전에 있었던 (해당 구간의) 건널목을 지하상가가 조성되면서 행정 당국이 없애 버린 결과 그동안 노약자, 장애인 등 보행 약자와 시민들의 고통이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며 “시민의 불편함을 무시한 채 행정 당국이 대책도 없이 건널목을 없앤 것에 분개한다. 원상 복구해 달라”고 밝혔다.
이처럼 주민들과 보행 약자의 불편이 큰 상황이지만, 제주시는 사실상 제주도에서 진행 중인 원도심 활성화 사업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원도심 활성화 사업 중 관덕정 광장 복원 사업 등이 있어 차선 조정이 있을 예정”이라며 “이에 맞춰 횡단보도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 사업은 현재 제주도에서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 전략 및 활성화 계획 수립안’이라는 제목으로 연구 용역이 진행 중이어서 횡단보도 설치 검토까지는 수년이 걸려 당장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사업 완료 전까지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임시 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있지만, 취재 결과 제주시는 아무런 조처도 하고 있지 않다.
주민 나모(61‧여)씨는 “제주시는 행정의 입장에서만 횡단보도 설치 문제를 생각하는데 당장 횡단보도가 없어 불편을 겪을 주민들뿐만 아니라 노약자, 장애인 등 보행 약자의 입장에서 생각해줬으면 좋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