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여행사 지정 권한 이양 등 제도 보완 방안 요구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의 강력범죄로 인해 ‘무사증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관광업계가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관련 업계의 피해가 적지 않은데다 지금까지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 노력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중국전담여행사 관리감독 권한 제주이양을 비롯해 관광 및 외식업계 불법체류자 취업 자제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제주도는 20일 제주웰컴센터 대회의실에서 제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등에 의한 도민 피해방지를 위한 관광관련 유관기관 간 대책회의를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는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 제주도관광협회를 비롯해 협회 5개 분과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우선 참석자들은 “무사증제도는 폐지해서는 안되고, 제도 보완을 통해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들은 “저가관광을 근절하고 여행상품 및 서비스 고급화를 위해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지침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국전담여행사 제도의 법적근거가 마련돼야 한다”며 “특히 관련 권한을 제주도로 이양 받아 제주도 주관으로 지정·운영하면서 외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관광사업체인 경우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데 있어 불법체류 여부를 철저히 파악해 불법체류자가 채용되지 않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또 제주도에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기초질서 및 법 준수를 당부하는 계도문을 제작하고, 모든 관광사업체에서 이를 부착·비치해 나가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 외에 외국인이 이용하는 모든 숙박업소에서는 외국인 숙박 시 여권을 받아 복사해 보관함으로써 관광객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가는 방안도 내놨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범죄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응책 마련을 건의하고 있다”며 “제주도 차원에서도 수시로 관광업계와 대책회의를 가지면서 관광객과 도민안전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