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관광단지 개발 둘러싼 각종 논란
오라관광단지 개발 둘러싼 각종 논란
  • 제주매일
  • 승인 2016.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특히 시민사회단체들이 강력 반대하고 나서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도내 18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최근 성명을 내고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심각한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며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 인허가 절차를 중단하라”고 제주도정을 강하게 압박했다.

오라관광단지는 한라산 중산간 지역 총 357만5753㎡ 부지에 조성되는 사업이다. 지난 7월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해 현재 환경영향평가 심의만 남겨둔 상태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이유는 대략 두 가지로 압축된다. 바로 ‘환경파괴와 자원 독점(獨占)’이다. 이를 입증하듯 오라관광단지 사업 면적은 마라도(馬羅島)의 12배에 달한다. 하루 오수 발생 예상량은 4480t으로 성산하수처리장의 시설 용량(4000t)보다 많고, 용수 사용량 또한 9524t으로 한림정수장 시설 용량 1만t에 맞먹는다.

이들은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이 ‘중산간 보전’을 강조해왔던 원희룡 도정의 뜻과도 정면으로 배치(背馳)된다고 주장한다. 해당 사업이 통과돼 해발 580m에 각종 위락시설과 대규모 숙박시설이 들어서게 되면 자원 독점은 물론 한라산 중산간 일대가 훼손·파괴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원희룡 지사는 여러 차례 이 사업을 옹호하는 발언을 해왔다. 사업 취소된 ‘기존 지하수 관정 사용 논란’도 그 연장선상이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최근 보도자료에서 “오라관광단지 사업과 관련 이미 개발된 지하수 관정의 양도·양수를 통한 사용을 인정하는 것은 명백하게 법에 위반된다”고 주장했다. 사업 취소에 따라 이미 오라단지 사업지구 내 ‘산지복구명령’을 내린 바 있는 원 도정이 유독 지하수 관정 사용문제는 사업자 간 양도·양수 계약을 근거로 묵인하고 있다는 것. 이는 그 자체로 일관성(一貫性)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위법성 논란을 행정이 나서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이다.

원희룡 지사는 취임 직후 “제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투기 자본과 난(亂)개발’ 등에 엄격하게 대응하겠다”고 천명했었다. 그러나 작금의 상황을 보면 원 지사의 의지가 퇴색됐거나, 아니면 투기(投機) 자본의 로비에 무릎을 꺾인 꼴이다. 환경영향평가 심의도 이뤄지기 전에 벌써부터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이 ‘승인’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말이 나오기에, 그런 심증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