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고용률은 전국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고용의 질과 고용창출 역량은 부족하고 구인구직 미스매칭이라는 문제도 적잖아, 고용과 일자리 전반에 대한 상시연구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관련 컨트롤타워를 둘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제주도와 제주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주관한 ‘2016 제주고용포럼’이 8일 메종글래드제주호텔에서 개최된 가운데, 강수영 제주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소장은 ‘제주고용정책이 이슈와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그는 “제주지역 고용률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일용근로자 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많고 계절에 따른 일자리 증감차이도 크다”며 “이 같은 지역고용시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내에 고용전문가가 부족한가 하면 거버넌스 간 사업연계도 미흡하다”며 산업계가 원하는 지역 특화형 일자리 창출사업 발굴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제주는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이 부족하고, 영세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는데다 기업이 원하는 핵심인력도 모자라 구인구직 미스매칭 문제가 심각하다”며 “기업-구직자간 일자리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해 제주도민 일자리인식 실태조사 결과 구직자와 비취업자간 임금 미스매칭은 200~300만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200~300만원을 희망하는 비취업자는 36.5%인 반면, 실제 임금근로자는 24.1%로 12.4%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또 기업 채용수요보다 구직자 수요가 높은 업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채용수요가 높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 도매 및 서비스업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그는 고용과 일자리와 관련된 문제를 상시 연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필요성을 제시했다. 고용동향 연구, 산업연계 일자리변화 연구, 고용인식 조사, 지역고용 현안 등 지역고용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일자리선택기준 변화의 시계열 조사도 제언했다. 그는 “도내 각 대학과 연계해 매년 졸업생을 대상으로 시계열 조사를 벌여 일자리선택의 인식변화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조사결과는 청년층 일자리 창출사업 발굴의 기초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는 한편 결과를 축적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제주도에 ‘일자리과’를 설치하거나 관련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의 일자리 관련 컨트롤타워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훈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제주의 특성과 인적자원 개발’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기업들의 역량개발 지원과 신규 일자리에 대한 추가분석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 외에 신규직업에 대한 대응 역량 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기관(제주 HRD 센터)을 두고, 장기적 정책 제안 및 기초 자료 분석 등을 수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