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제주도 산하기관 모여 조례 개정 필요성 논의
“무용·교향악·합창단별 특성 반영한 시스템 마련해야”
최근 조지웅 제주도립제주합창단 지휘자 계약해지 과정을 통해 예술단원들의 복무와 실기평정에 대한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관이 운영하는 예술단의 단원들을 공무원으로 봐야 하는 지, 아니면 예술가로 자유롭게 운용해야 하는 지가 핵심이다. 이에 본지는 제주예술단 단원들의 겸직과 복무규정, 단원평가 체제 등을 여러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제주특별자치도립예술단(이하 제주예술단) 운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5월 제주도 산하 기관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현재 제주예술단을 관리·운영하고 있는 제주도와 각 행정시(제주시, 서귀포시), 제주문화예술진흥원 담당 직원들이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기존 제주예술단 운영 조례·규정의 보완 필요성을 인정한 첫 자리인 것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당시 회의에서는 주기적인 회의를 통해 제주예술단 규정에서 애매하거나 미흡한 부분 등을 전면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들이 모아졌다.
이에 따라 구성된 제주예술단 개선을 위한 TF(임시전담팀)는 타 지역 예술단의 사례를 바탕으로 제주예술단이 보다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예술단원, 담당 직원들의 의견을 수합한 뒤 조례, 시행규칙 등을 손볼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현재 관리부서가 3곳으로 나눠져 있는 제주예술단을 통합 운영할 관리부서의 필요성이 논의됐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제주예술단은 관리부서 통합 보다 지위정리 복무, 평가체제, 예산 확충 등의 문제를 먼저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취재 중 만난 여러 단원들은 각기 소속 단체는 다르지만 “예술단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리 없이 조례를 개정하고, 관리 부서만을 통합한다면 지금의 문제들은 반복될 것”이라고 잘라 말한다.
제주도의회 이선화 의원(새누리당, 삼도1·2동·오라동) 역시 “통합만이 능사는 아니”라며 “수준 높은 공연이 도민들에게까지 전해질 수 있도록 그들에게 ‘지원’과 함께 ‘책임 있는 숙제’를 줘 ‘도립’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진화 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선 6기 제주도정은 ‘문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행정은 제주예술단의 위상과 질적 성장을 위해 어떻게 개선해 가야 할지 제주 도정만의 ‘성장 카드’가 부재한 상태다.
실제로 그들의 지위조차도 명확히 하지 못하면서 공무원에 준하는 규제를 하기도 예술인으로서 자율성을 주기도 어렵다는 고민만 되풀이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제주 대표 예술단의 문제를 디테일 하게 고민하지 못한 것은 제주도정의 ‘문화’ 슬로건이 액세서리나 다름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최근 담당자들이 한 자리에서 제주예술단의 운영 규정 등 손질의 필요성을 확인한 만큼 제주예술단의 발전방안을 위해 성급한 단행보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논의의 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