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문화축제 도민 공론화가 우선”
“섬문화축제 도민 공론화가 우선”
  • 오수진 기자
  • 승인 2016.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345회 제주특별자도의회 임시회
계획 확정 후 발표 등‘앞뒤 바뀐’ 추진 질타
“정책결정과정 문제 있으면 갈등 초래” 지적

지난 달 제주도가 발표한 후반기 문화예술 섬 정책 가운데 제주세계섬문화축제(이하 섬문화축제)가 추진 과정에서 도민 공론화보다 정책 결정이 앞선 것은 정책 집행 과정이 뒤바뀐 것이라는 지적이다. 앞서 제주도는 정책 발표를 통해 2018년에 제3회 섬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는 5일 제345회 임시회에서 제주도 문화체육대외협력국의 업무보고를 진행하며 섬문화축제 추진 과정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2018년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섬문화축제의 취지가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도민 공론화 없이 정책을 결정한 것은 성급하다는 의원들의 의견이 나왔다.

김동욱 의원(새누리당, 이호·외도·도두)은 “집행부나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결정이 되고 나서, 도민 공론화를 거치겠다는 것은 과정이 거꾸로 된 것 아니냐”며 “아무리 좋은 취지라 하더라도 정책 결정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갈등을 낳는다”고 꼬집었다.

이어 김 의원은 “도민들이 공감하지 않는 축제가 성공할 수 있겠냐”며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는 관 주도가 아니라 스스로 태동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축제만큼은 관 주도의 정책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시작을 제대로 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김태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노형동 갑) 역시 “‘제주신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섬문화축제를 연다고 했는데, 탐라 천년의 역사를 주제로 열리는 ‘탐라문화제’와 차별성을 어떻게 둘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또 “지역 주민 참여를 통한 협조는 축제의 성공 관건”이라며 “도민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는데, 만약 공론화 과정에서 부정적 의견이 나오면 취소할 수도 있나”고 물었다.

김현민 문화체육대외협력국장은 “사전에 공론화부터 했어야 하는 것이 정당했다”고 인정하면서 “관련 분야와 도민들의 충분한 의견을 듣고 추진해 가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