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감소·납품단가 인하·대금 회수지연·은행차입 곤란 등 원인
추석을 앞두고 상당수의 제주지역 중소기업들이 자금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감소가 주요 요인이지만 높아진 은행문턱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본부장 황재목)에 따르면 최근 도내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추석자금 수요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업체 중 24.3%가 자금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했다.
자금사정이 곤란한 이유(복수응답)는 ‘매출감소’(66.7%)와 ‘납품단가 인하’(44.4%)가 주를 이뤘다. 이어 ‘판매대급 회수지연’과 ‘은행차입 곤란’ 응답도 각 22.2%에 달했다.
특히 은행으로부터의 자금조달이 곤란한 이유에 대해서는 42.9%가 ‘추가담보 요구’를 들었다. 또 ‘신규대출 기피’(23.8%), ‘보증서 위주 대출’(23.8%), ‘금융비용 증가’(고금리, 23.8%) 등도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기변동, 기술개발 등의 이유로 일시적인 매출감소를 겪은 기업에 대해서는 성장성과 기술력 위주의 기업평가를 강화해 선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이와 함께 추석자금 확보실태를 보면 올해 업체당 평균 7억3000만원의 자금이 필요하지만, 확보율은 64.6%에 머물렀다.
부족자금 확보계획에 대해서는 전체 45.0%가 ‘결제대금 지급 연기’를 들었고, ‘금융기관 차입’(25.0%)이 뒤를 이었다. ‘대책 없음’을 응답한 업체도 10.0%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상여금(현금)을 지급할 계획이 있는 업체는 62.2%로 지난해 보다 8.6%포인트 감소했다. 지급계획이 없는 업체는 21.6%, 지급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업체는 16.2%였다.
상여금을 지급하겠다고 응답한 업체 가운데 상여금 규모는 대부분이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을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 휴무계획에 대해서는 전체 67.7%가 ‘5일’을 꼽았고, 4일 10.8%, 3일 5.4%, 1~2일 8.1%였다. 휴무 없이 정상근무한다는 업체도 8.1%에 달했다.
황재목 본부장은 “추석명절 특수임에도 불구하고 김영란법 여파에 매출감소가 예상되면서 자금상황이 좋지 않은 영세 기업에 초점을 맞춘 체계적인 자금지원과 사후점검이 필요하다”며 “매출액 등 정량정보가 아닌 정성정보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관계형금융’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