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익은 ‘풋귤 정책’ 혼란만 초래했다
설익은 ‘풋귤 정책’ 혼란만 초래했다
  • 제주매일
  • 승인 2016.0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숙 감귤인 ‘풋귤(청귤)’을 새로운 상품으로 개발해 농가 소득을 높이겠다는 것은 제주도의 발상이었다. 이에 따라 관련 조례가 개정되고 지난 7월부터 ‘풋귤’이란 이름으로 유통이 허용됐다. 그러나 설익은 정책 탓인지 결과가 기대에 크게 못 미치면서 혼란만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잔류농약 안전성 문제다. 이는 제도 도입 초기부터 논란거리로 떠올랐다. 그럼에도 불구 당국은 농약관리법을 준수하고 출하 후 세척을 잘 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지난 18일 열린 친환경감귤산학협력단(단장 김동순 제주대 교수)이 주최한 심포지엄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제기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친환경감귤 재배에선 풋귤이 기대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현재의 관행재배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단장인 김동순 교수도 정상적인 풋귤생산에 의문을 표시했다. 풋귤의 안전성을 위해선 무농약 방제체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병해충 집중방제 시기와 풋귤 수확기(7월 중순~8월 하순)가 서로 겹친다는 것이다. 감귤농가들도 “풋귤을 수확하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지 않으면 나무가 엉망이 되어 완숙과 출하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현실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풋귤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제주도는 올해 1만톤의 풋귤 수매계획을 마련했지만 수매된 물량은 거의 없는 상태다. 이게 바로 ‘풋귤정책’의 현실로, 전면적인 재검토가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