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간 협의·예산도 ‘아직’
제주교통약자이동지원 특별교통수단 운영에 대해 체계적이고 실효적인 계획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제주도가 운영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나선 가운데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10년 말 중증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을 운영하기 위해 사단법인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센터는 관리직 5명, 고객상담 6명, 운전원 47명 등 58명 조직으로 구성됐으며, 휠체어 이용 교통약자들을 위해 12인승의 승합차를 개량한 특별차량 40대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대상을 처음 도입 당시 1·2급 중증 장애 3개 유형에서 15개 전체 유형으로 확대하고, 당일 콜제도 도입 등 업무량도 늘려 인력 및 특별차량 등 인프라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같은 이유로 특별차량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돼 실제 이용객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 같은 문제점을 파악,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내외적인 요인 등으로 ‘성공’ 가능성은 미지수인 상황이다.
도는 올해 안으로 센터 내 조직을 보강하고 교통약자이동 차량운행시간을 24시까지 연장해 시범운영하는 한편 장애인 관광객 전용 렌터카 확대 등으로 이용 불편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마저도 가이드라인만 마련한 상태로 세부 실행 계획은 아직 인 상황이다. 또 장애인 관광객 전용 렌터카 확대 사업 예산은 관광진흥기금을 통해 충당하기로 했지만 관련 부서와 협의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효율적인 운영 개선을 위해서는 인력 및 예산 확보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획대로 이를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 따르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기존 사업들에서 보강, 개선하는 것이기 때문에 올해 내 추진이 가능할 것”이라며 “렌터카사업도 세부 계획을 마련한 뒤 부서 협의를 거치는 대로 바로 추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