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대입선발 결정요인 분석’ 연구 결과
가구 소득과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정시로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교육비가 수능 위주인 정시 전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학생은 정시보다 수시로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내신 관리에 더 엄격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15일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고려대 이기혜·최윤진) 논문을 보면,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고 가구 소득이 많은 집단에서 정시 일반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이 제일 낮은 1분위 집단에서 전형별 대학진학률(정시·수시는 일반전형 기준)은 정시 44.8%, 수시 42.1%, 입학사정관전형이 13.1%였다.
이런 비율은 2분위에서는 정시 51.2%, 수시 37.7%, 입학사정관 11.1%였고, 3분위에서는 정시 61.9%, 수시 30.7%, 입학사정관 7.3%로 나타났다. 가구 소득이 가장 높은 4분위에서는 정시 55.3%, 수시 37.8%, 입학사정관 6.9%로, 대체로 소득이 높을수록 정시 진학률이 올라갔다.
부모의 학력을 기준으로 보면, 고졸 이하 집단에서는 정시 48.4%, 수시 41%, 입학사정관 10.6% 순이었지만, 전문대졸 이상 집단에서는 정시 56.8%, 수시 34.1%, 입학사정관 9.1%로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정시 진학률이 높았다.
한편 정시보다 수시의 진학 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성별과 미래목표에 대한 인식, 내신등급과 수능성적, 논술 사교육 여부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여학생일 때, 정시 일반전형 대비 수시 일반전형의 승산비가 1.54배 높았다.
수시가 정시보다 내신 반영률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고교 내신을 관리하는 데 여학생이 더 유리할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논문의 분석이다.
또한, 학생의 장래 목표에 대한 인식이 확고할수록 수시로 진학할 승산비는 정시의 0.78배에 불과했다. 내신이 높은 학생은 상대적으로 정시 대비 수시에 대한 승산비가 1.85배 높지만, 수능성적이 높은 학생은 수시로 대학에 진학할 확률에 비해 정시로 대학에 갈 확률이 7% 정도 높았다.
논문은 “최근 대입전형 정책이 사교육비 경감 차원에서 점차 정시 비중을 줄이고 수시에서도 수능 영향력을 낮추는 방향으로 추진되는 상황은 이런 연구결과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이용, 2011학년도 대학 입학자와 2012학년도에 재수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 총 2103명의 표본을 분석한 것으로, ‘한국교육학연구’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