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콘텐츠 통합 운영기관 돼야”
“모든 콘텐츠 통합 운영기관 돼야”
  • 오수진 기자
  • 승인 2016.0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일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 결과 발표
“통합기관 전국서 제주만 없어 … 출자기관 형태 바람직”

제주지역 문화콘텐츠 전담 기관인 문화콘텐츠진흥원(가칭) 설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설립·운영 타당성 검토결과 현재 도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콘텐츠분야 기관들을 통합 운영해 전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 설립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제주도는 지난 4월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진행한 제주문화콘텐츠진흥원 출연기관 설립·운영 타당성 검토결과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제주콘텐츠산업은 제주만의 독자적인 융·복합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뚜렷한 방향성이 미흡해 특화형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이 시급히 요구돼 왔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제주지역만의 콘텐츠 관련 컨트롤 타워 역할 기관이 전무한 만큼 제주영상위원회,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아시아 CGI창조센터, 제주콘텐츠코리아랩 등으로 분산된 업무를 한 곳에서 통합 운영하는 진흥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도만 진흥원이 없는 상태다.

또한 타지역의 일부 진흥원에서 문화콘텐츠 이외 부분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존재하는 만큼 제주도 진흥원 설립 시에는 이러한 부분을 검토한 조직설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진흥원을 출자출연기관으로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존재하고 있고, 현재 제주도가 운영하고 있는 콘텐츠 관련 사업들의 경우 중앙에서 관리·운영 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자체에 위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제1안으로 최소한의 규모를 통해 운영이 가능한 조직구조인 총 31명(원장 포함)으로 구성되며, 팀장급 각 1명과 팀원들이 업무를 분장하는 것과 1위원회, 1센터, 3팀(제주콘텐츠통합운영팀, 경영지원팀, 교육운영팀), 인원은 원장과 부원장(영상위원장)을 포함해 32명으로 구성하는 제2안을 내놨다.

진흥원 설립에는 각 기관의 사업을 예측했을 때 약 5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부의 사업 수주와 위탁 사업 등을 운영할 경우 약 10~20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더 활용될 것으로 연구진은 판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