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 바닥권’ 제주는 억울하다
‘교통문화 바닥권’ 제주는 억울하다
  • 오세정 기자
  • 승인 2016.0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27개市서 25위·서귀포시 51개市서 48위
교통안전토론회 “문제는 아주 높은 렌터카 사고”

제주도 교통문화지수가 전국 하위 수준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는 27일 라마다호텔제주에서 제주 교통안전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장기태 카이스트 교수는 ‘제주도 사업용자동차 사고특성 분석 및 개선대책 수립’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도 교통문화지수는 전국에서 인구 30만 이상 27개 시 중 제주시 25위, 인구 30만 미만 51개 시 중 서귀포시 48위를 기록하는 등 타 시·도와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인구 10만명 당 교통사고 및 사망률·보행자 사망률, 보행자 횡단보도 신호준수율,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 등 교통문화지수를 나타내는 지표에서 제주는 중하위권 수준을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장 교수는 “특히 전국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12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제주도의 경우 2011년부터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라며 “업종별 중상·사망사고 중 렌터카 비율이 전9.50%과 비교했을 때 40%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인 사업용자동차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피력했다. 특히 전국 대비 높은 수준의 사고·사망률을 보이는 렌터카 사고 관리대책에 대해 제언했다.

그는 “렌터카의 경우 매년 관광객 증가와 함께 섬이라는 지역적 특색에 따라 대부분 관광객(약61%)이 렌터카를 이용함에 따라 사고 발생이 증가했고, 사고는 2~30대에서 관광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라며, 이에 따른 해결방안으로 ▲저연령 대여자 대여 기준 강화 ▲차랑등급·운전경력·사고기록 등 대여기준 세분화 ▲사고위험 안내 및 계도 의무화 ▲사고 시 페널티 부여 ▲속도제한장치 등 기계적 보조장치 도입 등을 내놨다.

마지막으로 장 교수는 “교통 안전 거버넌스 구축 및 협업을 통해 사업용 자동차의 교통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교통사고 예방 및 교통안전 체계를 마련해야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