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파(越波)피해 방지를 위한 탑동 방파제 축조공사에 의심의 눈초리가 쏠리고 있다. 기존 계획과는 달리 제주신항만 계획에 맞춰 이격(離隔)거리를 변경해 공사에 돌입하려는 시도가 포착됐기 때문이다.
당초 방파제 길이와 이격거리는 750m와 430m 였으나 지금은 길이 1100m, 이격거리 80m로 변경됐다. 다분히 신항만을 염두에 둔 조치로 밖에 볼 수 없는 이유다.
이 문제는 18일 열린 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다. 허창옥 의원은 “ 사실상 신항만(新港灣) 계획을 위해 탑동 방파제 축조공사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허 의원은 “신항만 기본계획 고시가 올해 12월에 있고, 예비타당성 조사도 내년 12월에 있을 것으로 안다. 이 과정에서 하나라도 잘못되면 신항 계획이 불투명해진다”며 성급한 방파제 축조공사 계획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아무리 좋은 사업이라도 지역주민의 동의 없는 사업은 물의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용역이 끝난 후에 보상을 논의하겠다고 하는데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건 지역주민들의 동의라는 것이다.
특히 좌남수 의원은 “제주신항 사업비의 절반인 1조4000억원을 민간자본으로 투입해 탑동을 매립하게 되면 그게 누구에게 돌아가느냐”고 추궁했다.
이는 실로 중차대한 문제다. 기존 ‘탑동 매립’으로 일부 사업자들은 큰 돈을 거머쥐었지만 도민들에게 남은 것은 황폐한 탑동 바다와 ‘잃어버린 탑동의 추억’ 뿐이다. 이점 명심하여 제주신항만 계획도 필히 정도(正道)를 걸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