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주행거리·한정판 모델 등‘시기상조’ 평가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택시 보급 및 지원 등을 통해 전기차 보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자동차 성능 개선 등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 보조금 지원 정책만 고수하면서 변죽만 울리다 말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도는 지난 13일 ‘2016년도 친환경택시(전기자동차) 보급 사업 공개모집’을 공고했다.
이번 공모는 오는 2030년까지 ‘탄소 없는 섬’ 조성을 위한 전기차 보급 사업 활성화 일환으로 시행되며, 내달 26일까지 도내에 사업장 주소지를 둔 개인 및 일반택시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선착순(100대) 접수된다.
개인택시는 1인 1대, 일반택시 사업자는 면허대수 범위 내에서 신청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일반 보조금 2100만원(국비 1700만원·도비 400만원)과 친환경택시 교체사업비 500만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출시된 전기차량 대부분(트럭 제외)이 택시보급 차종으로 선정됐지만, 중형택시 대상은 SM3 Z.E(4190만원) 1종이다. 이를 구매할 경우 제주도 보조금과 제조사 할인 등이 포함될 경우 600~800만원대 구매가 가능하다.
제주도는 “기존차량(LPG)에 비해 연료비 등 비용 절감효과가 크다”면서 전기택시 보급 및 확산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택시 업계는 제주도의 이 같은 주장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상당수 택시기사들은 짧은 주행거리와 부족한 인프라, 전문 정비업소 부족, 차종의 한계 등을 이유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제주도택시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많게는 하루 500km 이상 운행을 해야 하는데, 운행거리가 짧은 전기차를 현장에 투입하는 건 어려움이 있다”면서 전기택시 구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현장에서 만난 개인택시 한 기사 역시 “만약 이게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기사들이 알아서 (전기택시로)교체할 것”이라며 “우리가 원하는 수준(300km)의 성능이 나오지 않는 상황인데, 보조금을 늘렸다고 기사들이 움직이지 않는다. 현재 수준이라면 공짜로 준다고 해도 바꾸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앞서 전기택시를 구입·운행 중인 기사들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기했다.
2년째 전기택시를 운행 중인 A모씨는 “부족한 주행거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장거리 운행을 자제하면서 시내권 위주로 다니고 있다”면서 “개인적으론 단점보단 장점이 많은 것 사실이지만, 한정된 모델과 짧은 주행거리 등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도내 전기택시는 모두 7대가 운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