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 취소 없지만 관광 제재 1순위 될 것”
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THAAD·사드) 한반도 배치 결정이 당장 제주관광시장에 영향을 주지는 않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17일 제주관광공사에 따르면 사드 배치에 따른 관광시장 동향을 파악한 결과 현재까지는 사드 배치 문제로 일반 단체 등 수요의 예약 취소가 이뤄진 호텔·항공·여행업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도내 호텔과 여행사인 경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같이 중국인 단체의 제주여행 취소는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몇몇 중국 현지 여행사에서 사드 관련 문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내 여행업계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특이점이 없고, 현지 업계에서도 ‘사드 배치와 관련해 우려를 하며 동향에만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전해왔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으로 견적을 요청 할 경우, 사드와 관련 한국에 분위기를 묻는 등 갈등이 심화될 경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중국 언론에서 정부의 사드 배치에 관한 보도가 이어질 경우 관광 목적지 선택에 있어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사드 배치 문제로 양국 간의 불협화음이 계속 커져 중국 정부에서 제재를 취할 경우, 1순위가 관광이고, 다음으로 무역관련 조치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관광공사 측은 “현재 현지에서 이상조짐이 감지되고 있지는 않지만, 사회주의 국가인 만큼 중국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어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여행업협회는 “수도권 인바운드 여행사를 대상으로 중국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며 “일반 단체 취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몇몇 여행사에서는 중국 공무출장 목적의 방한 단체가 위축되고 있고”며 “앞으로 사드를 배치하는 시점에 중국 측의 실제 제재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고 전했다.
면세점 업계는 “현재 남중국해 사태 악화로 중국의 관심이 느슨한 상태지만, 이 문제가 어느 정도 진정될 경우 사드 배치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62만7952명으로 이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은 139만9980명에 달한다. 전체 외래시장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86%에 달할 정도로 외래 관광객의 핵심고객으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