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들 “문화·행사 증가는 이주민 유입 등 영향”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10년이 흐른 지금. 특별자치제도 도입은 과연 제주문화예술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을까. 도내 문화예술 현장 곳곳을 누비며 예술인들과 함께 해온 문화 관계자들은 특별자치제도 도입이 결코 현 제주문화예술의 전반적인 모습을 변화시켰다 생각하지 않았다.
제주문화예술재단(이사장 현승환)은 13일 제주목관아 관덕정에서 김동현 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 문성집 도립교향악단 수석연주자, 박경훈 제주섬문화연구소장, 진선희 한라일보편집부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특별자치 10년-제주문화예술을 성찰하다’라는 주제로 도민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가한 패널들은 예전과 달리 제주에 문화행사와 인프라 시설 등이 많이 늘어난 것은 특별법 조항과는 별개로 이주민이 증가하고 제주의 가치가 이제 서야 발견돼 나타난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판단했다.
진선희 부장은 “특별법에 문화진흥조항 항목이 있지만, 인프라적인면만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며 “특별법 조항이 과연 얼마나 문화 발전에 도움을 줬나 하는 것을 세심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연구원도 “특별자치제도 도입이 문화예술 현장의 전반적인 것을 바꿨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문화라는 측면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논의하는 행정적 영향은 여전히 미비하다. 문화에 대한 갈증을 해소 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 간 전통문화, 문화공간, 문화산업, 문화예술교육, 문화복지, 예술단체의 지원, 국제교류 부분에 걸쳐 시행할 ‘제주향토문화예술진흥 중장기계획’ 대해서도 많은 의견이 나왔다.
진 부장은 “계획대로만 진행 된다면 바람직하지만 가짓수는 많은데, 예산이 동반되지 않는 등 아쉬운 점이 많다”며 “좋은 제도가 있다면 어떻게 활용할지 점검 장치도 필요한데 그게 없다면 10년, 20년 뒤에도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연구원은 “제도가 부족해서 못한 것이 아니라 의지가 없어서 못했던 것”이라며 “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다면 계획상으로만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제주도와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오는 9월까지 ‘문화예술섬 조성(문화예술진흥),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도민대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