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안전보다 민원 걱정
트랙 사용금지 ‘차일피일’
학생 안전보다 민원 걱정
트랙 사용금지 ‘차일피일’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6.0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교육청 우레탄 유해물질 검출 결과 후 보름동안 ‘무조치’
운동장 전면통제 당초 입장 바꿔 “지역사회와 협의 후 진행”

도내 96개 학교 우레탄 트랙에서 발암물질인 납과 6가크롬이 검출됐지만 결과가 나온 지 보름이 다 되도록 해당 학교 운동장은 개방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이번에는 주민 반발을 우려해 우레탄 트랙 사용중지 시기를 주민의 양해를 구한 뒤로 미루면서 학생 안전보다 민원을 더 두려워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4일 교육계에 따르면 도교육청이 도내 전체 우레탄 트랙 설치 학교를 대상으로 유해성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손에 쥔 것은 지난달 20일께다.

당시 도교육청 관계자는 결과가 나오는 대로 검출 여부에 따라 사용금지와 교체 예산 확보 등 후속조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예산 문제 등을 들어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게 먼저라며 지난달 결과 공개 일정을 늦췄고, 보름 만에 열린 4일 브리핑에서는 주민 불편을 고려해 전면 통제는 지역사회와 협의 후 진행하겠다며 사용금지 시기를 다시 늦췄다.

도교육청의 발표에 학부모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발암물질인 납이 96개 학교에서 검출됐고, 이 가운데 일부는 기준치(KS기준 90mg/kg)를 20배 이상, 많게는 28배까지 초과한 상황에서 민원을 이유로 사용 통제를 미루는 모양새가 쉬 납득이 가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도교육청 관계자는 유해물질 검사 결과가 나온 지난달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유해물질 검출 학교에 대해 폐쇄조치를 내리자 학부모들로부터 큰 항의를 받은 적이 있다”며 민원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한 바 있다.

반면 서울시교육청은 올 초 1339개교를 대상으로 우레탄 유해성 전수조사를 실시하던 중 검사가 종료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학교 먼저 사용중지 결정을 내려 제주교육청과 대조를 보였다.

특히 도교육청은 이번 조사에서 6개 유해물질(납, 카드뮴, 크롬, 아연, 수은, 비소)을 조사한 수도권 교육청들과 달리 교육부 지침을 이유로 네 개 항목에 대한 조사만 실시, 소극 행정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소식을 접한 여러 학부모들은 “교육청이 안전과 건강이라는 또렷한 명분을 갖고도 설득을 못하고 있다”며 “그렇게 맷집이 약해서 제주의 백년지대계를 세울 수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