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天井不知)로 치솟으면서 각종 부작용을 양산하고 있다. 도민들의 세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가 하면 제주도가 추진하는 공공사업에도 걸림돌로 작용 중이다. 특히 농민들의 경우 인력이 건설시장에 몰리며 구인난에 시달림은 물론 토지 임대료마저 폭등해 이중고(二重苦)를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제주의 개별공시지가는 지난해와 비교 평균 27.77%가 올랐다. 땅값이 치솟으며 주택가격도 덩달아 상승 중이다. 2011년 이후 제주지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연평균 11.3%로 지난해에는 18.0%나 급등했다.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이 점차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취득세 등 지방세 징수액은 대폭 늘어 지방재정 확충에는 도움이 되고 있다. 지난해 제주도가 부동산 부분 취득세로 거둬들인 돈은 3402억원. 1년 전 2217억원보다 무려 53.4%가 증가했다. 이는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으로 돌아가 그만큼 세(稅)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을 뜻한다.
제주지역의 부동산 광풍(狂風)은 ‘미친 집값’ 등으로 이어지면서 갖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있는 이들엔 희소식일지 몰라도, 없는 사람들에겐 어려운 삶을 더욱 옥죄는 족쇄(足鎖)가 되고 있다는 것이 우리 사회의 ‘불편한 진실’이다.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제주의 미래비전 역시 기약할 수 없다. 벌써부터 제주로 오려던 사람들이 발을 돌리고 있다는 소리가 들린다. ‘후폭풍(後暴風)’을 잠재울 수 있는 대책을 제주자치도가 하루속히 마련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