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교육 ‘인공지능 시대’ 준비해야”
“앞으로 교육 ‘인공지능 시대’ 준비해야”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6.0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李 교육감 ‘취임2주년’ 회견
교실중심의 문화 변화 강조
비정규직 문제 ‘난색’ 표해
▲ 30일 제주도교육청 고객지원실에서 이석문 교육감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제주도교육청 사진 제공

이석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은 30일 “이제부터의 교육정책은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하는 데 방향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취임 2주년을 하루 앞두고 본청 고객지원실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세돌과 인공지능 기계가 바둑을 겨룬)알파고 현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기계와 다른 점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며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지는 모르지만 인간만이 가진 본연의 장점을 살리는 교육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고 전제했다.

이 교육감은 “앞으로는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제주 교육청은 질문이 있는 교실의 기치를 중심으로 학교교육중심의 시스템을 계속 구축하면서 문예체 등 하나의 주제를 탐구하는 형태의 동아리를 장려해나겠다”고 밝혔다.

지난 2년 교육청의 성과는 이례적으로 스크린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통해 숫자로 설명했다.

이 교육감은 “한 해 수십 명이 낙오하던 모 고교에서 지난해 학업 중단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고 이는 제주가 전국 최초로 추진한 소아정신과 의사 영입이 힘을 발휘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제주지역 수능성적 1위, 미래 시민을 키워내기 위한 4·3평화인권교육 안착, 중학생들을 경쟁에 내몰았던 고입 선발고사 폐지 등도 성과로 꼽았다.

특히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말을 인용해 교사들의 자발적 동아리를 장려하고, 행정 우위의 교육 문화를 꾸준히 교실 중심으로 바꿔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자들이 질의한 유해물질 검출 우레탄 트랙 문제에 대해서는 “가능한 빨리 철거를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자세한 계획은 오는 4일께 공식 발표한다는 입장이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처우 개선 문제와 관련해서는 신중론을 나타냈다.

이 교육감은 “정부 정책에 따라 일시적으로 도입된 직종과 교원양성체계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임용고시 미합격자의 처우개선 문제는 교육감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비정규직 문제 중 가장 뜨거운 감자인 급식종사자 월급제 전환에 대해서는 말을 비켜갔다.

이 교육감은 “지난 2년간 소모적인 경쟁 구도를 완화하고 아이들이 자존감을 가지고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데 힘을 써왔다”며 “아이들의 다양한 시각이 교실에서 피어날 수 있도록 사랑하는 능력과 질문하는 능력을 키워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