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돼지 이미지 실추 따라 출하가격 하락 우려
수요 증가 여름철 공급 달려 소매가 급등 개연성

지난 28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한 농가에서 돼지열병 야외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도내 축산물 도축을 담당하는 제주축협공판장 가동이 전면 금지됐다. 업계에선 이번 사태가 장기간 계속될 경우 가축전염병 청정 이미지 실추에 따른 돼지고기 가격 하락 우려와 공급물량 감소에 따른 가격 폭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사태 장기화 농가피해 불 보듯
방역대에 포함된 생산농가들은 사실상 멘붕 상태에 빠졌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위험지역(반경 3km이내)으로 지정된 경우 30일, 경계지역(10km 이내)은 21일 동안 돼지의 이동이 제한된다.
당국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중앙협의회와 등과 협의를 통해 이동제한 기간을 줄여보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방역대 안 전수조사를 통한 임상·확인 검사에서 이상이 없을 경우에 이동제한 조치가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적잖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농가들은 이번 사태가 얼마나 장기화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미 출하시기를 놓친 돼지들이 농장에 가득차 있어 1주일 이상은 버티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림읍 지역 한 농민은 “돼지는 통상 6개월(115kg)정도면 출하가 진행되는 데 이 시가가 늦춰지면 과사육에 따른 등급 하락과 추가 사료값 지출 등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면서 “더욱이 청정 이미지 실추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이어질 경우 방역대 밖 농가들도 적잖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발병 첫 날 공판장에서 도축·계류 중이던 돼지 4317마리가 폐기처분되면서 약 2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공급물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우려도
당국은 지난 29일 공판장에 대한 방역을 마무리, 조속한 시일 내 정상화 하겠다고 밝혔다. 공판장측 역시 30일 방역 및 소독 작업을 진행 한 후 내달 1일 정상 가동하겠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돼지열병 발생 농장 반경 10km 이내 방역대에 속한 농장들(154곳·27만200마리)이 이동 제한에 걸리면서 공판장이 정상화되더라도 물량을 제대로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당 지역에는 양돈농가들이 밀집돼 있고, 도내 생산량의 절반(48.3%) 가까이를 담당해 온 곳이어서 공판장 재가동 이후에도 공급이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에 유통·외식업계에선 이번 사태가 공급 차질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주말을 앞두고 공급이 중단되면서 당장 유통에 차질을 빚어지고 있어 냉동육(수입산)을 풀어야 할 상황”이라며 “특히 여름철 돼지고기 소비 증가로 가뜩이나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도축 물량이 절반가까이 줄어들면 가격이 오르는 건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번 사태로 제주는 18년 간 이어오던 청정 이미지 자격을 상실했다”면서 “때문에 그동안 특별법으로 반입을 제한해 왔던 도외산 축산물 반입 금지 조치를 해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외식업계는 규모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였다. 중·소형 업체는 “손님이 많은 주말을 앞두고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장사가 어렵게 됐다”고 푸념했고, 일부 대형 업체의 경우 “아직 비축 물량이 여유가 있기 때문에 주말 장사에는 문제가 없다”면서도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공급 차질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어질 수 있다”면서 방역 당국의 조속한 해결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