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램·전기자전거 도입 및 교통량 분산 교통체계 구축’ 주장도
제주관광의 질적 성장과 교통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자가용 총량제 도입을 통해 자가용 공급을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유인하는 한편 트램 등 친환경 무정체 교통수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와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28일 제주칼호텔에서 ‘제주관광의 질적성장을 위한 교통인프라 선진화 전략’을 주제로 ‘2016년 지역경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조부연 제주대학교 교수는 “최근 제주는 정주인구 및 자동차의 빠른 증가로 주차난과 교통체증이 심화돼 제주경제의 건전한 발전이 저해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제주인구는 상주인구 65만명과 관광객 평균 체류인원 18만명을 더해 약 83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한 지난해 말 자동차수는 43만5000대로 인구 및 세대당 보유 순위가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교통혼잡비용은 2011년 2514억원에서 2015년 4370억원으로 1.7배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 교수는 “제주관광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싱가포르, 베이징 등 외국 사례를 거울삼아 단기적 대책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교통인프라 선진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 교수는 자가용 총량제와 트램 도입 등의 단기적 방안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공항에 집중된 교통거검을 분산시키고 거점간에 도내 광역순환망을 연결하는 단계별 교통망 구현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이 같은 대규모 투자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향토자본을 우선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항만, 육상교통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가칭 물류공사를 출범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주제발표 후 이뤄진 토론회에서 이창운 한국교통연구원장은 “교통수요관리는 시책의 문제로, 도민과 관련업계, 행정관청 등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대승적 차원에서 시스템 개편을 수용해야 한다”며 “제주의 교통인프라는 ‘빠르지 않지만 막히지 않는’ 느림의 미학을 추구하는 네트워크 형태로 구축하고 속도가 필요한 곳은 ‘궤도형 급행 Transit 시스템’을 추가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상빈 제주환경운동연한 대표는 “제주도가 추진중인 교통유발부담금 제도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조례 제정시 과징금을 현실화하고 누진제 및 일정기준 초과시 징벌적 과징금을 징수하는 내용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한 뒤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인 트램과 개인용 전기자전거 등을 적극적으로 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래형 한은 제주본부 기획조사부장은 “도내 주요 관광중심지에 교통거점을 만들어 무엇보다 공항부근에 집중된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