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 안전’ 민간에 맡겨도 괜찮나
‘물놀이 안전’ 민간에 맡겨도 괜찮나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6.0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변 관리권한 지자체 이관
전문성 갖춘 해경인력 빠져
종합 컨트롤타워 등도 부재
▲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제주매일 자료사진>

여름 휴가철을 맞아 도내 해변들이 일제히 개장된 가운데 수상 안전요원의 전문성 부족에 따른 여름철 안전사고 위험도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해변으로 차출되는 소방인력이 늘면서 남은 대원들의 격무에 시달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까지 해양경찰에서 담당해 오던 해수욕장 관리는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되면서 지난해부터 관리 권한이 해수욕장 소재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갔다. 제주도는 도내 11개 지정해수욕장을 비롯해 비지정해수욕장, 하천, 내수면, 유원지 등 모두 34곳의 피서지에 안전관리요원(385명)을 배치,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해변 안전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제주해경은 2014년 95명의 인력을 배치했지만 안전관리가 지자체로 이관되면서 지난해에는 47명으로 줄었다. 당국은 올해 구조 인력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민간인 160명(라이프가드(대한적십자사), 특전사 등 군 출신, 관련학과 대학생 등)을 선발, 각 해수욕장으로 배치한다는 계획이지만 전문성을 갖춘 해경인력을 대신해 책임감을 갖고 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다행이 지난해 도내 해변에선 인명사망사고 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해변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인명 사고 위험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방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해수욕장 활동 실적은 구조 활동 60건(99명), 구급활동 82건(93명), 현장응급처치 1933건(1935명), 미아 찾기 182건(200명), 안전조치 8958건 등이다. 지난해 해수욕장 이용객은 모두 229만명으로 2014년 135만명 보다 77.2%가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여름철 소방대원의 인력 차출에 따른 격무에 시달릴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제주소방안전본부는 올해 물놀이 지정 해수욕장 11곳에 15명을 인력(상황실장)을 투입할 예정이다. 통상 119구조팀은 펌프차 2~3명, 물탱크차 1~2명, 구급차 3명 등 6~7명으로 꾸려지는 데 각 소방서 별로 1~2명의 인력이 해변 안전요원으로 빠지게 되면서 남아있는 이들의 업무가 가중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사실 다양한 기관에서 인력을 배치하고는 있지만 해수욕장의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조직은 없는 실정”이라며 “소방, 해경, 민간 구조 등 각 기관별로 인력을 배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책임소재를 따질 경우 애매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해변 안전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담당 기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