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에게 집 밖으로 나간 아이들은 항상 걱정이다. 더욱이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아이들이 제 때 귀가하지 않으면 부모의 근심은 커질 수밖에 없다. 교통사고나 유괴 등 ‘범죄’는 아니더라도 길을 잃지는 않았는지 노심초사다.
이래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 상황 등 미아방지를 위한 ‘안전따꿍이’ 서비스를 도입했다. 올해 학기 초 학부모 수요조사를 거쳐, 1억원의 사업비로 도내 1·2학년들에게 안전따꿍이 단말기를 보급했다.
그야말로 바람직한 조치였다. 그런데 학부모들의 불안은 해소되지 못하고 불만만 가중되고 있다고 한다. “단말기를 통해 교내외 자녀의 위치를 확인해 줄 수 있다”던 도교육청의 안내와는 달리 학교 밖에선 중계기 설치 미흡 등으로 아이들의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설마 그럴 리가 했던 ‘의심’도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위치 추적이 안된다”는 민원이 있어 학교 인근 관공서에 중계기 추가 설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이다.
무슨 교육행정이 이 모양인지 기가 찰 노릇이다. 수업을 마치고 인근 놀이터에서 놀고 있던 아이의 위치도 확인되지 않는 장비가 아이들의 안전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 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작 필요한 교외에선 ‘무용지물’이니 그야말로 전시행정의 전형이다.
아니 확실하지도 않는 성능을 고지했으니 아이와 학부모들에게 거짓말을 한 것에 다름 아니다. 다른 기관도 아니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청에서 그랬다는 사실에 충격은 배가되고 있다.
학부모용 어플(마이스쿨)이 깔린 스마트폰이 안전따꿍이의 중계기 역할을 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나 어플 이용자가 많지 않아 위치확인이 안된다는 교육청의 설명은 변명도 아니다. 그렇다면 시행 전에 충분히 어플을 깔아 놓았어야 했다.
취재가 이뤄지자 학부모와 어플 핑계를 대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시대다.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들이 안심하고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조속한 대안 마련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