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여행사 비정상 영업 대대적 점검 및 단속
정부가 저가의 중국 단체관광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합동 대응팀’을 구성, 중국 전담여행사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안전처, 식약처, 경찰청, 지차체 등과 ‘합동 대응팀’을 구성, 오는 10일부터 중국 전담여행사에 대한 운영 실태 조사를 벌이는 한편 단체관광객 중점 이용업소에 대한 점검 및 단속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중국 전담여행사가 비지정 여행사에 명의를 빌려주는 위법행위와 쇼핑점과의 비정상적인 거래 행위로 인한 불합리한 저가 단체관광 시장이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문체부는 앞서 지난 3월 방한 중국 단체관광 시장 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전담여행사에 대한 상시 퇴출제, 무자격 관광통역 안내사 2회 적발시 지정 취소 등을 추진해 왔다.
그런데 지난달 발표된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중국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가 2014년 94.8%에서 지난해에는 94.1%로 0.7%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음식 분야에서는 단체관광의 만족도가 79.1%로 개별관광(87.8%)보다 8.7%포인트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우선 중국 전담여행사에 대한 영업 형태와 유치 실적 등 운영 실태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 영업 행위로 의심되거나, 법령을 위반한 업체에 대해서는 제재에 나설 방침이다.
또 중국 단체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대표적 관광 업소에 대한 점검과 단속도 벌인다. 불공정 거래가 의심되는 쇼핑점과 식당 등이 대상이다.
한편 문체부는 방한 중국시장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 프리미엄 상품 개발을 추진하고 국내 인바운드 여행사를 대상으로 우수상품 공모 등을 진행한다. 또 의료 등 전문 통역안내사 양성도 추진한다.
이 외에 외국인 관광객들의 관광 불편과 불만족 사항에 대한 신고와 처리를 통합하는 ‘불편신고통합시스템’ 홈페이지를 올해 하반기에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에서 바가지요금 등의 피해를 봤다면 다시 한국을 찾을 때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 배상제도’를 내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