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로 전락한 3억 프로젝트 조형물
‘흉물’로 전락한 3억 프로젝트 조형물
  • 제주매일
  • 승인 2016.0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는 사람들의 눈길을 확 끄는 ‘대형 조형물’이 하나 있다. 총 3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 조형물은 공공미술프로젝트에 따라 구성된 ‘제주공공미술추진단’에 의해 지난 2010년 설치됐다.

당시 제주도는 “이번 공공미술프로젝트로 터미널을 이용하는 관광객과 도민들에게 ‘추억의 장소’가 될 것”이라며 ‘길(여정)’을 테마로 조성한 조형물에 큰 기대를 걸었다.

그 기대에 걸맞게 이 예술품은 한동안 제주시의 대표적 ‘명물(名物)’ 중 하나였다. 길에서 만나거나 스치는 사람들을 비롯 사물·풍경 등의 이미지들을 모아 모자이크한 작품이었기에 그럴 만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간의 예술적 조형적 체취는 간곳이 없고, 이제 터미널과 도시 전체의 이미지만 실추시키는 ‘흉물(凶物)’로 전락했다. 사진 모자이크들이 떨어져 나가는 등 조형물이 걷잡을 수 없게 훼손돼도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기 때문이다.

이 조형물을 설치한 공공미술추진단은 해체된 지 이미 오래다. 그렇다면 행정기관이라도 나서 관리를 해야 하는데 ‘관리 주체(主體)’가 모호해 서로 책임 떠넘기기 일쑤다. 이게 시·군 자치제를 포기하며 ‘광역화’를 이룬 제주특별도의 현주소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만 국한되지 않고, 도내 곳곳에 산재(散在)한 다양한 형태의 공공시설 예술조형물의 경우도 마찬가지란 점이다.

어떤 시설물도 관리 여하에 따라 명물 혹은 흉물이 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일제정비와 함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