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공원 3단계 조성사업은 당초 연내(年內)에 모두 마무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4·3평화의 숲 조성계획이 도감사위의 제동(制動)으로 무산됐다. 또 평화교육센터 내 어린이체험관 사업도 전시 내용을 정하지 못하면서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먼저 ‘4·3평화의 숲’의 경우 평화공원 내 1만6529㎡ 부지에 제주4·3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사색의 공간과 4·3형상 조형물, 식수 공간 등의 부대시설을 조성하는 사업. 이를 위해 지난 2월 지방계약법에 따라 공모입찰 턴키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턴키(turnkey)’는 건설공사 등과 관련 그 설비를 바로 가동할 수 있도록 모든 여건을 갖춰서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제주도감사위원회의 벽에 부딪혔다. 위와 같은 내용이 사업의 본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심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계획 자체가 백지화(白紙化)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이 사업을 일반실시 설계로 전환, 최근에야 사업자 선정과 함께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에 들어간 상태다. 앞으로 사업을 발주하기 까지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어린이체험관 역시 순조롭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다. 전시위원회 TF팀에서 대체적인 윤곽은 잡혔으나 현재 체험관의 전시(展示) 내용을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엔 국비 1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4·3평화공원 3단계 조성사업은 이외에도 추념(追念)광장 배수개선사업 등 당면한 과제가 도처에 깔려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으론 올해 말까지 전체 사업을 마무리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 보인다.
이처럼 3단계 조성사업이 갈팡질팡하는 것은 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콘트롤타워’의 부재(不在)에 기인하는 것 같다. 제반 사업이 큰 계획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따로 놀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다가오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4·3평화공원은 일반의 ‘공원’과는 그 비중이나 성격 면에서 크게 다르다. 따라서 ‘건설이나 토목’의 입장에서 사업을 추진했다간 큰 낭패를 볼 것은 뻔하다. ‘제주4·3’의 역사적 의미를 후세에 제대로 전하려는 전제(前提)가 깔려있어야 3단계 조성사업은 성공리에 마무리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