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및 관련 교수들에 공식 사과, 사퇴 촉구

제주한라대학교에서 대학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들을 징계하기 위한 강제 서명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 사건의 정점에는 총장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한라대학교 교수협의회는 10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의 정황과 입수된 증거들을 볼 때 동료 교수들을 이용해 징계요청서에 서명을 강요한 ('요청서 파문'의)정점에는 총장이 있다"고 주장했다.
교수협은 "요청서 작성을 결정한 보직교수회의 주재자가 총장이고, 총장이 지시했다는 관계자들의 증언도 있다"며 "징계요청서 뒤에 숨어 대학을 분열시키는 김성훈 총장에 대해 교수협은 분노에 앞서 참담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교수협은 "교수협 교수들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요구하는 이 요청서의 내용이 상부에서 작성돼 기획처장을 통해 명령처럼 각 학부장들에게 내려 보내졌고, 학부장들은 일반교수들을 찾아가거나 학부장실로 불러 일대일로 면담을 하는 방식을 통해 서명을 추진했다"며 "동료 처벌을 강요하는 행위는 교육자로서도, 인간으로서도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사학 지도감독권을 갖고 있는 제주도에 대한 원성도 이어졌다.
교수협은 지난 달 20일 원희룡 지사가 도정질문 답변에서 '제주한라대 문제에 대해 머리가 아프다. 누구 편도 들수 없다'고 말한 것을 의식한 듯 "원 지사에게 어느 편을 들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며 "최고교육기관인 대학에서 버젓이 자행되고 있는 족벌체제의 잘못된 대학운영을 시정할 수 있도록 사학지도감독권자로서의 책임을 다해달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교수협은 김성훈 총장과 주요 보직교수 및 학부장들의 공식 사과와 주요 직책에서의 사퇴를 요구했다. 제주도에 대해서는 '요청서 사건'에 대해 즉각적인 진상 조사와 적절한 조치 등 적극적인 개입을 강도높게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