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 이어 최다 세번째…버스·숙박 문제 순
중국인 A씨는 제주관광에 나섰다가 황당한 경험을 했다. 택시를 9만원에 대절, 관광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는데, 실수로 90만원을 지불한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것.
A씨는 귀국 직 후 택시기사에게 연락을 취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자, 한국관광공사 관광불편신고센터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고서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택시기사에 대해서는 5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인 A씨는 펜션을 예약하고 출발 날짜를 기다리던 중 뜻하지 않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터지자, 해당 업체에 연기를 요청했다. 하지만 개인사정인 만큼 40%밖에 돌려 줄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아야 했다. A씨는 소비자센터의 조정으로 60%를 돌려받을 수 있었다.
제주도 관광당국이 관광불편 해소를 위해 관광 종사원 등을 대상으로 의식개선과 친절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개선이 되지 않고 있어, 제주관광 이미지 훼손이 우려된다.
9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공사가 운영하는 관광불편신고센터에 지난해 접수된 제주지역 관광불편신고 건수는 64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내국인은 9건에 그쳤지만 외국인은 55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같은 불편신고건수는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677건), 인천(99건)에 이어 세 번째다.
특히 한국관광공사가 아닌 제주도를 통해 접수된 불편신고는 222건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 제주도 관광당국의 수용태세 개선정책이 겉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유형별로는 버스가 35건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 21건, 여행사(국내)·쇼핑 각 17건, 택시 14건, 음식점 9건, 공항 및 항공 4건, 안내표지판 3건, 선박 2건, 관광종사원 1건, 기타 99건 등이었다.
관광학계 관계자는 “관광불편신고가 이어지는 것은 그만큼 의식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며 “같은 문제가 반복된다면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돼 관광객들의 외면을 불러올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