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길 하나 차이보다 더 큰 인식>교육청
道<길 하나 차이보다 더 큰 인식>교육청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6.0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 외면 의무 1% 밑돌아
지난해도 0.48% 고작…도교육청 1.07%와 크게 대조

제주도가 중증장애인들의 생산 제품을 앞장서 구매하기는커녕 수년째 구매비율을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도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은 0.48%에 머물렀다. 전국 평균 0.80%의 절반 수준이다. 이에 따른 제주도의 평가점수는 33.4점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거꾸로 세 번째를 기록했다.

제주도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비율은 2013년 0.49%에서 2014년 0.9%로 높아졌다가 다시 2년전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공공기관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구매비율이 총 구매액의 100분의 1 이상이 돼야 한다. 즉 1%를 넘어야 한다. 제주도인 경우 그만큼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를 외면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문연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제주도교육청 구매비율은 1.07%를 기록했다. 도교육청 2013년 1.39%, 2014년 0.87% 등의 구매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전국 교육청 평균은 0.89%였다.

이와 함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3.13%의 구매비율을 기록하며 공기업 중 비교적 상위권을 차지했다. 제주대학교병원은 고가의 의료기기와 의약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 특성상 0.1%에 그쳤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우수기관 등에 대해서는 표창을, 실적 미흡기관에 대해서는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올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목표액을 전년 대비 17% 확대된 5425억원으로 확정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