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도마에 오른 ‘공직자의 처신’
도의회 도마에 오른 ‘공직자의 처신’
  • 제주매일
  • 승인 2016.0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직자의 처신(處身)’ 문제가 제주도의회 도마 위에 올랐다. 4·13총선 과정에서 불거졌던 고위 공무원 출신의 공유재산 매입과 ‘원희룡지사 마케팅’ 등이 바로 그것이다.

포문은 강경식 의원(무소속)이 먼저 열었다. 강 의원은 원 지사를 상대로 한 도정질문에서 “총선(總選) 과정에서 모 후보자의 재산신고 누락만이 아니라 다운계약, 도시계획지역 인접 부지 매입 등이 드러나 너무 놀라웠다”며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문제는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니다. 특정 공유지의 매각을 어떻게 알고, 그것도 자신이 필요한 땅을 콕 찍어서 매입한 것은 사전에 ‘정보(情報)’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특히 문제의 공유지 매각은 한국자산관리공사 전자재산매각시스템인 ‘온비드’를 통해 이뤄졌다.

그들의 주장대로 국민 모두가 매입에 참여할 수는 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이 아니면 누구나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적으론 아무런 하자가 없을지 몰라도, 일반의 상식으론 도무지 이해하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어쩌면 이 같은 사례는 ‘빙산(氷山)의 일각(一角)’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도 바로 이 지점이다. 이와 관련 원희룡 지사는 “공직자의 청렴성과 의무는 고위 공직자 일수록 크다. 도청 차원의 행정조사를 넘어 감사위원회의 전면적인 감사 등을 통해서 털고 가겠다”고 밝혔다.

공무원들이 공적(公的)인 정보를 사사로이 이용해 자신의 잇속을 챙기는 것은 명백한 불법이요, 도민과 국민에 대한 배신(背信) 행위다. 원 지사가 말만이 아니라 실천적인 행동으로 공직자의 잘못된 처신과 부조리를 척결해 나가길 기대한다.

이번 도정질문에선 전직 지사들의 선거참여 등도 쟁점으로 대두됐다. 도민통합의 구심점이 되어야 할 지역사회 어른들이 ‘편가르기식 정치판’에 뛰어들어 존재감을 과시하는 것은 자신은 물론 제주사회 모두에 도움이 안 된다. 지역의 원로(元老)로 대접받기 전에 ‘원로의 품격(品格)’부터 갖추길 권하는 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