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영화제 예술의전당 개최 끝내 무산
강정영화제 예술의전당 개최 끝내 무산
  • 오수진 기자
  • 승인 2016.0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귀포시 대관 거부 따라 강정마을에서 열기로

속보=제1회 강정국제평화영화제에 앞서 서귀포시가 전체 상영작 34편에 대한 목록을 요구하며 ‘사전검열’ 논란이 일었던 가운데(본지 4월 14일자 9면 보도) 애초 예정지였던 서귀포예술의전당에서의 영화제 개최가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최근 부산국제영화제는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 벨’ 상영을 놓고 부산시와 영화제 측이 갈등을 빚으면서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예술의 섬’을 표방하는 제주도에서까지 독립성과 전문성 취지를 갖춰야 할 영화제의 취지가 훼손됨에 따라 영화계의 비난의 한목소리는 제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제주에서 영화와 관련한 ‘사전검열’ 논란은 지난 2010년에도 있었다. 제주도와 제주씨네아일랜드의 예술전용상영관 조성을 두고 ‘지역사회와 주민정서에 반하는 영화는 상영할 수 없다’는 계약 조항을 넣으면서 당시 많은 언론과 지역사회에서 행정이 비난을 받았었다.

이후 6년이 지나 평화와 환경, 생명, 인권 등의 문제를 주요 가치로 삼는 강정국제평화영화제가 개최하려 하자 서귀포시는 상영될 영화 중 7편이 정치성을 띠고 있어 편향될 우려가 있다며 지난 12일 대관을 거부했다.

해당 영화 7편은 평창올림픽을 비판하는 ‘인터뷰 프로젝트-놀림픽’, 이주민을 다룬 ‘소설무용’ ‘에어’ ‘GMO OMG’ ‘구럼비 바람이 분다’ ‘강정오이군’ ‘탈선derailed’ 등이다.

이와 관련해 제주씨네아일랜드 오주연 대표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사회에서 도민들은 무엇이든 볼 권리가 있다. 영화에 대한 평가와 선택은 오로지 도민의 몫”이라며 “서귀포예술의전당이 도민의공간이라면 어떤 영화든 상영돼야 하고, 사전검열 등은 옳지 않다”고 현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한편 강정국제평화영화제는 오는 23일 오후 6시 서귀포성당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26일까지 대극장인 강정마을회관과 소극장인 강정평화센터, 야간 야외 상영장인 강정천, 야간 실내 상영장인 삼거리 식당 등 강정마을 곳곳에서 진행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