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心 회초리’ 매서웠던 4·13총선
‘民心 회초리’ 매서웠던 4·13총선
  • 제주매일
  • 승인 2016.0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6년 만의 ‘與小野大’
제주도 더민주 3곳 석권

‘4·13 총선’ 투표가 끝나고 개표가 이뤄지던 13일 밤, 제주지역은 짙은 안개로 뒤덮였다. 마치 앞으로 펼쳐질 ‘안개정국’을 연상케 했다.

이번 총선 결과는 이른바 정치 전문가들의 예상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새누리당의 참패(慘敗), 야당 및 무소속의 약진이었다. 무려 16년 만에 ‘여소야대(與小野大)’ 국면이 형성된 것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사람들은 국민을 우습게 본 ‘집권여당의 오만(傲慢)함’에 대한 냉엄한 심판이라고 말한다. 할 말을 잃게 만든 공천 파동과 시대의 변화 흐름을 읽지 못한 ‘친박(親朴) 마케팅’ 등이 국민들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 성난 민심이 매서운 회초리를 든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4·13총선의 또 다른 특징은 철옹성 같은 지역구도가 깨졌다는 점이다. ‘여권의 심장부’인 대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가 새누리 대권(大權) 후보군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물리친 것은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더민주 소속이었다가 무소속으로 출마한 홍의락 의원의 당선도 TK(대구경북)의 달라진 민심(民心)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부산과 경남도 예외는 아니었다. 김무성 대표의 본산인 부산에서만 4명의 더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 호남 또한 전남에서 이정현 의원이 재선(再選)에 성공했고, 전북에선 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무려 20년 만에 새누리당 깃발을 꽂았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경기 고양 갑에서, 노회찬 후보가 경남 창원 성산에서 당선된 것도 진보정치의 희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제주지역의 경우 더불어민주당의 ‘아성(牙城)’이 너무나 견고했다. 당초 당선이 유력시되던 새누리당 부상일 후보(제주시 을)마저 막판에 속절 없이 무너졌다. 더민주당이 12년을 넘어 16년의 ‘장기 집권’에 들어간 것이다.

제주도민은 지난 17대 총선 이후 4차례 총선(總選)에서 제주 3석 국회의원 자리를 더민주당에 잇달아 안겨줬다. 반면 새누리당은 이번 20대 총선까지 단 한 석(席)도 얻지 못하는 참패를 당했다.

특히 제주시 갑 강창일 더민주당 후보는 ‘내리 4선(選)’이란 제주 총선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기게 됐다. ‘다선의 힘과 큰 인물론’을 내세운 전략이 먹혀들었다.

강창일 의원은 당선 소감을 통해 “위대한 도민들의 현명한 선택으로 당선의 영광을 안은 것 같다. 제주도민들은 새로운 역사를 창조해주셨다. 내리 연속 4선이라고 하는 새로운 역사의 신기원을 만들어주신 만큼 어깨가 무겁다. ‘다선(多選)의 힘’을 가지고 제주도 발전과 더 큰 제주, 더 큰 행복을 도민에게 안겨드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대 총선에 대한 강한 유감도 드러냈다. “이번 선거는 관권(官權)선거라고 얘기될 정도로 아주 이상했다. 전직 도지사라는 사람이 진두지휘하면서 ‘상왕(上王)’ 노릇을 하려는 작태가 여실히 보였다. 부동산 땅 사러 다니는 정치공무원들을 용서하면 안 된다. 철저하게 감사 청구해 책임을 묻겠다. 만에 하나 그게 내부정보에 의해서 땅을 샀다고 하면 끝까지 책임을 추궁하겠다”고 다짐했다.

제주시 을 선거구는 피 말리는 개표 끝에 더민주 오영훈 후보가 극적으로 당선의 영예를 안았다. 오 후보는 출구조사에서 오차범위 내 차이로 뒤졌으나, 막판에 뚝심을 발휘해 세 번째 도전에 나선 새누리당 부상일 후보를 꺾고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무주공산(無主空山)이었던 서귀포 선거구에선 여야가 1대1 ‘진검(眞劍) 승부’를 펼친 결과 더민주당 위성곤 후보가 새누리당 강지용 후보를 큰 표 차로 따돌리고 더민주당의 깃발을 지켰다. 강지용 후보는 19대에 이어 또다시 고배를 마신 채 눈물을 흘렸다.

이번 4·13총선은 한마디로 소통 대신 불통(不通)으로 일관하고, ‘남 탓’만 하며 경제를 파탄 낸 박근혜 정부의 실정(失政)에 대한 국민들의 냉엄한 심판이었다. 그러나 제주가 16년 연속 더민주당에만 국회의원 중책을 맡긴 것은 지역 발전을 위해서 너무 아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