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의 전기차(電氣車) 사업은 ‘탄소없는 섬 2030’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자동차 전부(10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게 목표다. 그런데 벌써부터 ‘빨간불’이 켜졌다. 도민들의 관심이 예상보다 낮아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한 추진동력(推進動力)이 급격하게 떨어진 탓이다.
이는 집계된 수치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제주도의 올해 전기차 보급 목표는 4000대다. 정부 계획물량(8000대)의 절반을 차지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전기차를 사겠다고 신청 접수된 것은 모두 1500여대에 불과하다. 그나마 국제전기차엑스포가 열린 기간에 시행한 특별보급 1087대를 포함해서다.
이 가운데 실제로 보급된 전기차는 고작 40여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전기차 보급 도민 공모에서 2.23대1의 경쟁률을 보이며 당초 계획했던 1513대가 전부 소화됐던 것과는 아주 대조적인 양상이다.
이 같은 결과 뒤엔 각종 악재(惡材)가 자리잡고 있다. 먼저 공공기관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시설이 지난 3월부터 유료(有料)로 전환됐다. 전기차 구매의 가장 큰 메리트였던 저렴한 유지비가 사라진 것이다. 전기차 구입에 따른 정부와 제주도 지원금이 전년보다 500만원 축소된 것도 또 다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제주도는 ‘전기차 보급 활성화 추진 TF’나 ‘전기차산업정책기획단’ 구성에만 매달리고 있다. 신규 사업 발굴 및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라고 둘러대고 있으나 ‘눈 가리고 아웅’하는 미봉책일 뿐이다. 이러한 기구나 조직이 없어 전기차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자동차로 인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전기차가 새로운 대안(代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제주의 경우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전기차의 메카’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어설픈 계획과 추진력 갖고는 전기차 보급은 물론 ‘탄소없는 섬 제주’도 실현키 어렵다.
제주도 관계자는 “현 상황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정부와 함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게 바로 제주자치도가 야심차게 추진해 온 ‘전기차 사업’의 현주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