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외 문헌 전반적인 전수조사 필요해”


속보=전국 초등학생들이 배우는 사회 교과서에 제주4·3사건이 누락돼 4·3이 제주만의 역사로 갇혀있다는 아쉬움이 제기(본지 3월 28일자 4면보도)되는 가운데, 이번에는 한국 최초의 국립 근현대사박물관이 발간한 교육용 자료에 4·3이 왜곡 기술돼 논란이 되고 있다.
도내·외 각종 문헌에 제주4·3이 제대로 기록되고 있는 지 대대적인 전수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의 교재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제작 보급한 청소년용 만화 ‘6·25전쟁’이다. 박물관 측에 따르면 해당 책자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2014년 기 발간한 도서자료 ‘6·25전쟁’을 토대로 지난해 청소년용 교육 자료로 기획한 만화 3권 중 하나다. 교재는 6·25전쟁을 중점 설명하면서 당시를 전후해 벌어진 제주4·3사건을 짧게 언급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해당 교재는 제주4·3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반란’으로 정의하는 듯 한 뉘앙스를 풍긴다. ‘진압과정에서 많은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되는 비극을 낳았다’는 내용은 싣고 있지만, ‘제주4·3사건은 제주도의 남로당이 일으킨 무장반란이었다’는 완료형 문장과 ‘1945년 5월이 돼서야 무장 반란세력이 대부분 소멸됐다’며 즐겁게 ‘소탕 끝!’을 외치는 군인의 익살스러운 표정 등이 공권력의 개입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4·3사건의 시발점을 기술한 부분에서는 1948년 4월 3일을, 1945년 4월 3일로 잘못 표기하기도 했다.
박물관 측은 “만화가 가지는 간결성과 흥미성이 오해를 일으킨 것 같다”며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검토해 수정하겠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해당 책자가 국가가 운영하는 박물관에서 발간됐다는 점에서 가볍게 넘길 사안은 아니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문제의 교재가 시중 판매를 검토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자칫 잘못된 내용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각인될 수 있었다는 아찔한 추정도 가능하다. 때문에 4·3이 기록된 도내·외 문헌들에 대한 꼼꼼한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4·3관계자들은 “4·3의 역사적 사실을 잘못 기술하고 수만명의 양민이 살해된 사건을 ‘소탕’이라는 표현으로 마무리한 것은 도민으로서 굉장히 서운하고 화나는 일”이라며 “전국의 수많은 기관에서 4·3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 문헌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와 대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