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아파 자주 찾아뵙지도 못해...”
“몸 아파 자주 찾아뵙지도 못해...”
  • 고상현 기자
  • 승인 2016.0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형님·오빠 잃은 통한의 세월
군경이 무장대로 오인 살해
군인들 의해 마을에서 처형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4·3 추념식’이 열렸다. 희생자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장송곡이 공원 장내에 울려 퍼졌다. 광장에는 추모객들로 붐볐지만, 공원 한 편에 있는 ‘행방불명자 묘역’에는 까마귀 떼들만 맴을 돌며 어지러이 날고 있었다.

이순하(83) 할아버지는 그런 까마귀 떼 아래에서 형님의 표석을 찾고 있었다. “이젠 나이가 들어서 다리도 아프고 기억력도 안 좋아져서 형님 비석을 잘 못 찾겠네”

이 할아버지는 같이 온 부인 오춘자(81) 할머니와 함께 한동안 헤맨 뒤 형님 이름이 적힌 표석을 찾아냈다. ‘남원면 신례리 1120번지 1933년 2월2일생 이순우…1948년 12월13일 이후 제주지역에서 행불’ 부부는 늘 그래왔다는 듯이 익숙하게 제사 음식들을 꺼내 표석 앞에 가지런히 놓았다. 부부가 번갈아서 절을 마치자 하늘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이 할아버지는 제수 음식을 정리하며 말하기 시작했다. “16살 때인 1948년 형님이 한라산으로 들어갔다가 무장대로 오인받아 군경에게 죽었어. 그 일만 생각하면 눈물만 나와. 형님이 너무 보고 싶은데 이젠 몸 이곳저곳 아파서 자주 찾아뵙지도 못 해”

오춘자 할머니도 13살 때 오빠를 잃었다고 했다. “그 시절엔 군인들이 날마다 마을로 와서 사람들을 데리고 가곤 했어. 그 날도 군인들이 마을 청년들을 불러 모으니깐 오빠더러 집에 오지 말라고 했는데… 괜히 왔다가 군인들한테 끌려갔지. 결국 마을에서 처형당했어”

오 할머니의 오빠는 마을 사람들이 나중에 시신을 수습해서 묻어줬다고 했다. 하지만 이순하 할아버지의 형은 여전히 행방불명이다. “텔레비전에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보여줄 때 가슴이 찢어졌어. 그 사람들은 살아있으니깐 만날 수도 있었지만 우리는…” 오 할머니는 말을 다 잇지 못했다. 이 할아버지는 표석을 등지고 먼 산을 바라봤다.

비가 거세게 내리기 시작했다.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불편한 몸을 이끌고 지팡이를 의지한 채 집으로 향했다. 그 뒤로 4·3 사건으로 행방불명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진 3887개의 표석이 일렬로 늘어서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