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달풍력발전단지’는 제주지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그러나 운영 주체인 한신에너지(주)가 외국기업에 매각을 추진하고, 제주도가 이를 허용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한신에너지는 지난달 초 전체주식(1599만주)의 30%를 태국(泰國) 기업에 매각하는 안을 제주도에 심의 요청했다. 그리고 풍력발전사업심의위원회는 매각안을 조건부로 의결했다. 주식의 30%는 한화로 약 186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운영자금 부족 등에 의한 매각이 아니라, 순전히 경제적 이익 목적으로 이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삼달풍력발전단지에는 모두 780여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투자금(投資金)을 전액 회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도내 환경단체에서는 “풍력자원 개발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도록 하겠다는 도정(道政)의 원칙과도 맞지 않다”며 “공공자원인 풍력(風力)의 개발이익이 대기업 및 해외유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고 강력 비판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풍력발전의 양적확대와 경제성에만 관심을 가져왔지 사회적·환경적 문제에는 눈을 감아왔다”고 지적했다. 제주도정이 겉으로는 공공성(公共性)을 운운하지만 속으론 철저하게 경제적 이익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이번 건으로 인해 공공자원 보호의 ‘둑’이 삽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흔들리는 제주도의 환경정책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