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사건은 대한민국 현대사 최대 비극 가운데 하나다. 국가 원수(노무현 대통령 2003년 10월)가 공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에 대해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까지 했다.
그래서 2014년엔 ‘4·3사건 희생자 추념일’이 지정됐다. 만시지탄이나 아픔의 역사를 화해와 상생으로 승화시키려는 제주도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진 것이다.
하지만 4·3사건은 68주기를 앞두고 있음에도 여전히 홀대 받고 있어 갑갑할 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후 단 한차례도 4·3추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올해도 외국 순방 일정이 잡혀 있어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4·3의 역사’는 제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3~6학년 ‘사회’ 과목에 4·3이 실려 있지 않다고 한다.
이 무슨 어불성설이란 말인가. 제주4·3은 대통령이 직접 사과하고 국가추념일까지 지정된 ‘역사적인’ 사건이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어린이들도 배워야함은 당연하다. 그나마 제주의 아이들은 제주도교육청이 부교재를 개발한 덕분에 4·3을 배우고 있다.
현대사를 담은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의 경우 5·18민주항쟁은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고 한다. 1980년 이후 민주주의 발전사의 주요 사건으로 전두환 군부의 폭력적 진압 내용 등과 함께 국립 5·18민주 묘지와 발발 당시 전남 도청 앞에 운집한 시민들의 사진을 싣고 있다. 나아가 5·18이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주화에 영향을 줬다는 역사적 평가도 곁들여 있다.
제주도민의 입장에선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5·18항쟁의 교과서 기술이 잘못됐다는 것은 아니다. 4·3이 외면당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한탄이다.
국가도 공과(功過)를 솔직하게 알려야 한다. 잘한 것만 자랑하고 잘못한 것은 감추려 한다면 역사적 발전이 있을 수 없음을 지적한다. 국가공권력에 의한 수만명 민간인 희생의 아픔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반성할 줄 아는 ‘역사’ 교육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대한민국 정부에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