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국민의 심판에 달렸다
‘4·13총선’ 국민의 심판에 달렸다
  • 제주매일
  • 승인 2016.03.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13총선’과 관련 여·야의 공천전쟁이 막을 내렸다. 이번 공천은 말이 ‘공천(公薦)’이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막장 드라마’를 방불케 했다. 나라의 미래와 국민은 아예 안중에도 없는 ‘그들만의 리그’로 꼴불견 그 자체였다.

먼저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경우를 보자. 김무성 대표의 ‘옥새 파동’으로 극(極)으로 치닫던 내분사태는 ‘3개 지역구 무공천’ 절충으로 일단 봉합됐다. 김 대표가 이른바 정종섭 등 ‘진박(眞朴)’ 3곳을 양보한 대신, 이번 공천의 ‘태풍의 핵’이었던 유승민·이재오 국회의원의 지역구를 무(無)공천으로 방어했다. 바둑으로 치면 ‘막판 끝내기’에 성공한 셈이다.

이를 두고 청와대와 친박계는 “결국 김 대표가 자기정치를 위해 흥정을 했다”며 부글부글 끓고 있다고 한다. “집권당 대표가 무책임한 행동을 했다”며 “3개 지역구 후보자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기회까지 없애버려 사실상 피선거권까지 박탈해버리는 어처구니없는 결과를 낳았다”고도 비판했다.

허나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지난 19대 총선 시 2곳에 대해 ‘무공천’을 단행한 원죄(原罪)를 갖고 있는 게 바로 친박계다. 또 이번에 당헌과 당규를 철저히 묵살한 것도 공천권이란 칼자루를 쥔 친박계 이한구 위원장이었다.

호가호위(狐假虎威)의 대명사격인 이 위원장은 상식을 벗어난 ‘무소불위의 힘’을 맘껏 휘둘렀다. 자기가 속한 당 대표를 향해서도 시시각각 모욕적인 언사를 서슴지 않았다. 오죽하면 친박계 인사까지 나서 이번 ‘공천파동’의 책임을 이한구 위원장에게 돌렸겠는가.

새누리에 비해선 다소 높은 점수를 받고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경우도 현실적인 상황이 만만치 않다. 비례대표와 관련 ‘김종인 2번=노욕(老慾)’ 파문에다, ‘정체성’을 둘러싼 김종인·문재인 간 ‘불안한 봉합’이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살얼음을 걷는 듯 한 위태로운 형국이 아닐 수 없다.

국민의당 또한 마찬가지다. 25일 서울과 광주에서 안철수와 천정배 ‘투톱’ 출정식을 가진 국민의당은 일단 총선 목표를 ‘원내교섭단체 구성’으로 잡고 있다. 하지만 공천과정에서의 불협화음에 김한길 의원마저 손을 놓고 있는 마당에서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19대 국회는 ‘사상 최악’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20대 국회 또한 이에 못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제 남은 것은 냉엄한 국민들의 심판 뿐으로,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