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제주대학교 병원을 원도심 문화 거점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밑그림이 그려졌다. 제주도와 제주문화예술센터,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 TF팀은 옛 제주대병원이 품고 있는 100여년 역사와 장소성을 보존해 ‘원도심 치유의 문화 공간’으로 조성한다고 22일 밝혔다.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 TF팀은 앞서 제주도가 의뢰한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조성사업 기본계획을 통해 공간 활용방안 및 사업 추진 전략을 공개했다.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 TF팀은 오는 9월 개관을 목표로 현재 유휴공간으로 남아있는 제주시 삼도2동 옛 제주대학교 병원 건물 일부를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기본 계획에 따르면 우선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는 100여 년 동안 병원으로서 주민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치유하는 역할을 해온 만큼 장소성과 역사성을 살려 치유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부여할 예정이다.
또 문화예술의 허브로 센터를 활용하기 위해 예술가와 시민들의 창의 공간을 개발하는 제주 아트랩(JEJU ART LAB) 프로그램 공간도 계획됐다.
아트랩 공간은 특정 프로젝트 주제를 공모해 선정된 입주 예술가가 창작 활동을 위한 기획과 협의를 진행하는 공간이다. 예술가 협업 프로그램, 전문가 매칭 프로그램, 예술가 시민의 실험 공간 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싱크탱크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시민들의 공간으로는 삼다도 공방, 자파리 팩토리, 녹낭다방 등이 예정돼 있다. 이 체험 프로그램들은 다음 달부터 프로그램 기획안을 구성해 문화예술 공간의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매년 대표 키워드를 선정한 기획전시, 국내외 작가 및 기획 작가 기획전시, 신진작가 발굴 전시 등을 추진해 실험적 문화예술을 표현하는 다양한 전시 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한편 전체 건물의 지하층은 전시와 공연을 위한 오픈스튜디오와 전시 공간, 3층은 시민과의 소통 공간, 4층은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 옥상은 야외공연장으로 쓰일 예정이다.